선혜부인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신라 제21대 소지마립간의 왕비.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선혜부인은 삼국시대 신라 제21대 소지마립간의 왕비이다. 이벌찬 내숙의 딸이다. 소지마립간과 선혜부인의 혼인 시기는 내숙이 이벌찬에 등용된 소지마립간 8년(486)을 기준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 이전에는 내숙에 대한 관련 기록이 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소지마립간 대에 일어난 분수승과 궁주의 내통 관련 내용을 다룬 『삼국유사』의 사금갑 설화는 궁주를 선혜부인으로 볼 수 있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 제21대 소지마립간의 왕비.
가계 및 인적 사항

소지마립간(재위: 497~500)의 왕비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이 다르다. 『삼국사기』에서는 이벌찬(伊伐飡) 내숙(乃宿)의 딸인 선혜부인으로, 『삼국유사』에서는 기보갈문왕(期寶葛文王)의 딸이라고 되어 있다.

내숙은 소지마립간 8년(486)에 이벌찬에 등용된 인물이고, 기보갈문왕은 제19대 눌지마립간(재위: 417~458)의 동생이다. 기보갈문왕은 지증왕의 아버지인 습보갈문왕(習寶葛文王)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숙은 『삼국사기』의 거칠부(居柒夫) 기록에 나오는 거칠부의 할아버지 각간 잉숙(仍宿)과 동일인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보면 소지마립간에게는 적어도 두 명의 부인, 내숙의 딸인 선혜부인과 기보갈문왕의 딸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에서 소지마립간 대에 일어난 분수승(焚修僧)과 궁주(宮主)의 내통 관련 내용을 다룬 『삼국유사』의 사금갑(射琴匣) 설화는 궁주를 선혜부인으로 볼 수 있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이 설화에 나오는 궁주는 왕비 혹은 왕비에 버금가는 높은 신분의 인물을 가리킨다.

궁주를 선혜부인으로 본다면 사금갑 사건을 역모로 확대시킨 배경에는 선혜부인을 제거하여 이득을 얻을 세력, 즉 또 다른 부인으로 보이는 지증왕의 누이동생을 비롯한 지증왕의 옹립세력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반면 궁주를 기보갈문왕의 딸이라고 한다면, 지증왕을 비롯한 세력의 견제를 위한 소지마립간의 방책이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소지마립간과 선혜부인의 혼인 시기는 내숙이 이벌찬에 등용된 소지마립간 8년(486)을 기준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 이전에는 내숙에 대한 관련 기록이 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후 소지마립간 15년(493)에 백제 동성왕(재위: 479~501)이 신라로 사신을 보내 혼인을 청했을 때 이벌찬 비지(比智)의 딸을 보냈다는 기록을 통해 소지마립간 15년 이전에 이벌찬이 바뀐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사금갑 사건의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논문

주보돈, 「『삼국유사』 「사금갑」조의 이해」(『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40,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9)
조한정, 「신라 소지왕대의 정치적 변동 : 사금갑설화를 중심으로」(『한국학연구』 27, 2012)
윤진석, 「신라 至都盧葛文王의 ‘攝政’」(『韓國古代史硏究』 55, 한국고대사학회, 2009)
장창은, 「신라 소지왕대 대고구려관계와 정치변동」(『사학연구』 78, 한국사학회, 200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