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지마립간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신라의 제19대(재위: 417년~458년) 왕.
이칭
이칭
눌지왕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458년
관련 사건
나제동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눌지마립간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19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417년~458년으로 내물마립간의 아들이다.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실성이 귀국해서 마립간에 즉위한 뒤 고구려를 이용해 내물마립간의 아들 눌지를 해치려 했으나 오히려 고구려의 지원을 받은 눌지가 정변을 일으켜 그를 살해하고 마립간이 되었다. 즉위 후에는 고구려의 평양천도 이후 남진정책에 대항하기 위해 백제와 나제동맹을 맺었다. 왕실 내부의 분쟁을 막기 위해 왕위계승에서 부자상습제를 확립시켰고 저수지 축조, 우거 사용법 보급 등 민생안정에도 힘을 쏟았다.

정의
신라의 제19대(재위: 417년~458년) 왕.
개설

재위 417∼458. 성은 김씨이며, 내지왕(內知王)이라고도 부른다. 포항중성리신라비에는 내지왕(乃智王)이라고 전하기도 한다. 아버지는 내물마립간이고, 어머니는 미추이사금의 딸인 보반부인(保反夫人)이며, 또는 내례길포부인(內禮吉怖夫人), 내례희부인(內禮希夫人)이라고도 전한다. 비는 실성이사금의 딸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최초로 마립간이라는 왕호를 사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서 마립간이 실제로는 내물왕 때 이미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때에 처음 사용되었다고 한 것은 종래의 왕호인 이사금(尼師今)이 마립간과 더불어 내물과 실성 양대에 걸쳐 혼용되고 있었기 때문인 듯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392년(내물마립간 37)에 내물마립간이 실성을 고구려에 볼모로 보냈는데, 401년에 귀국해 내물마립간에 이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실성마립간은 즉위 후, 자신이 외국에 볼모로 갔던 것을 원망해 고구려를 이용, 내물마립간의 아들 눌지를 해침으로써 원수를 갚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오히려 고구려의 지원을 받아 정변을 일으킨 눌지에 의해 살해되었고, 눌지는 실성마립간에 이어서 즉위하게 되었다. 이처럼 그의 왕위 계승에 고구려의 힘이 작용한 듯하다. 그러나 즉위 후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해 418년에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동생 복호(卜好)를 고구려에서 탈출시켰다.

또한 왜(倭)와의 화호(和好)를 위해 실성마립간 때 볼모로 보내졌던 동생 미사흔(未斯欣)도 귀국시켰다. 고구려와는 424년에 사신을 보내어 정상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고구려의 평양천도 이후의 남진정책에 대항하기 위해 433년에는 종래 적대적 관계에 있던 백제와 동맹을 체결하였다. 455년에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왕은 나제동맹(羅濟同盟)에 입각해 군사를 파견, 백제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미사흔을 귀국시킨 뒤, 왜가 431 · 440 · 444년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신라를 침범하자 이를 모두 막아내었다.

450년에는 신라의 하슬라성주(何瑟羅城主) 삼직(三直)이 고구려의 변장(邊將)을 살해해 고구려가 침범하자 외교적인 사과로 해결하였다. 이와 같이 불안한 대외적 위기상황 속에서 왕실 내부의 분쟁을 미리 막기 위해 왕위계승의 부자상속제를 확립시켰다. 이 때문에 직계인 자비마립간소지마립간은 혼란 없이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중앙정청인 남당(南堂)에서 왕이 친히 노인들을 봉양함으로써 민심을 수습했고, 저수지인 시제(矢堤 : 위치 미상)를 축조해 농업생산력의 증대를 도모하였다. 또한 백성들에게는 우거(牛車)의 사용법을 가르쳐서 화물유통을 쉽게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신라상대왕위계승연구」(이종욱,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0)
「신라고대의 Dual Organization」(김철준, 『역사학보』1, 1952)
「신라내물왕계의 혈연의식」(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1984)
「新羅建國考」(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