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물마립간 ()

경주 신라 내물왕릉
경주 신라 내물왕릉
고대사
인물
신라의 제17대(재위: 356년~402년) 왕.
이칭
이칭
내물왕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402년
내용 요약

내물마립간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17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356년∼402년이며, 흘해이사금이 후계자 없이 죽자 왕위를 계승했다. 마립간은 이사금보다 더욱 강화된 왕권을 상징하는 왕호로, 내물마립간 이후부터 박·석·김 3성이 교대로 왕권을 계승하는 대신 김씨에 의한 독점적 세습이 이루어졌다. 고구려 사신의 안내를 받아 전진과 외교관계를 수립했고, 잦은 백제의 침략을 고구려 광개토왕의 군사적 지원으로 물리쳤다. 국가체제가 정비되고 왕권이 강화되었지만 고구려의 원조를 받지 않을 수 없었고 고구려의 내정간섭도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정의
신라의 제17대(재위: 356년~402년) 왕.
개설

재위 356∼402. 성은 김씨. 구도갈문왕(仇道葛文王)의 손자이며, 각간(角干) 말구(末仇)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휴례부인(休禮夫人) 김씨이고, 왕비는 미추이사금의 딸인 보반부인(保反夫人) 김씨이다. 『삼국사기』에는 미추이사금의 사위라고 했으나, 『삼국유사』 왕력(王曆)에는 미추이사금의 아버지인 구도갈문왕의 아들, 또는 미추이사금의 동생인 각간 말구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미추이사금의 동생 또는 조카로도 알려져 있다. 이처럼 계보는 확실하지 않으나, 미추이사금과 근친관계가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이 때문에 흘해이사금이 후계자 없이 죽은 뒤에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생애 및 활동사항

왕호는 『삼국사기』에는 ‘ 이사금(尼師今)’으로 기록되어 있고, 『삼국유사』에는 ‘ 마립간’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내물왕 때에 ‘마립간’의 왕호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삼국유사』의 설을 따르고 있다. 마립간은 수석장(首席長) 또는 후세의 군장(君長)에 대한 존칭어인 상감(上監)에 해당하는 왕호로 짐작된다. 왕호가 마립간이었다는 사실은 신라의 전신인 사로국(斯盧國)이 국가적 면모를 일신해 국가체제가 정비됨으로써 왕권이 보다 강화되어 더욱 존엄성이 있는 왕호가 필요했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로써 내물마립간은 신라의 육부 대표와 지배층들로 구성된 화백회의의 중앙정청(中央政廳)인 남당(南堂)에서 정사를 주재하는 명실상부한 최고 통치자로서 군림하게 되었다. 또한 내물마립간 이후부터는 박(朴) · 석(昔) · 김(金)의 삼성(三姓)이 왕위를 교대로 계승하는 대신 김씨에 의한 왕위의 독점적 세습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현상은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가능했을 것이다.

신라가 고대국가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내물마립간의 이러한 체제 내적인 정비는 중국과의 국제관계에도 관심을 기울이게 해, 377년(내물마립간 22)과 382년 두 차례에 걸쳐서 고구려 사신의 안내를 받아 주1주2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게 되었다. 특히 382년에 전진에 사신으로 파견된 위두(衛頭)와 전진의 왕 부견 사이의 대화는 당시 신라의 사정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주3에 인용되어 있는 『진서(秦書)』의 기사에 의하면 “그대가 말하는 해동(海東 : 新羅)의 일이 예와 같지 않으니 어찌된 일인가.”라는 부견의 질문에 대해 위두는 “중국에서 시대가 달라지고 명호(名號)가 바뀌는 것과 같으니 지금 어찌 같을 수 있으리오.”라고 대답하고 있다.

이것은 중국사회에 변화가 있었으므로 신라사회의 변화도 당연하다는 것으로 신라의 고대국가 체제 정비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와 같은 신라와 전진의 외교관계는 곧바로 중국문물 수입의 계기로 작용한 듯하다. 내물마립간대에 와서 신라가 고대국가체제의 기틀을 다지게 된 계기는 백제 근초고왕마한 정복과 백제군의 낙동강 유역으로의 진출이 신라에 자극을 주었을 것이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당시 백제가 왜(倭)와 연합한 다음 왜병을 끌어들여 364년과 393년 등 여러 차례 신라를 침범하자 이들에 대항할 목적으로 신라 내부를 통합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고, 그 결과 체제정비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단독으로는 백제와 왜의 연합세력을 물리칠 수 없었던 신라는 마침내 우호적 관계에 있던 고구려의 군사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399년에 내물마립간이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자 고구려의 광개토왕은 이듬해 5만 명의 보병 · 기병 군사를 신라의 국경지대로 파견해 백제군과 연합한 왜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고구려의 신라에 대한 군사적 지원은 결과적으로 신라의 자주적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고구려와의 우호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392년에는 내물왕이 고구려의 강성함을 두려워해 이찬(伊飡) 대서지(大西知)의 아들 실성(實聖)을 고구려에 볼모로 보내야 하였다. 401년에 고구려로부터 귀국한 실성이 내물마립간이 죽은 뒤에 여러 아들들을 배제시키고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던 것도 고구려의 압력이 배후에서 작용했을 것이다. 상황이 이런 만큼 신라가 내물마립간 때에 대내적으로는 비록 고대국가체제의 기틀을 다지고 있었지만 대외적으로는 고구려에 대하여 군사적 지원을 요청해야 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의 내정간섭으로 인해 자주적인 발전 기반을 확고히 마련하지 못하였다.

이밖에도 내물마립간 때에는 전국에 관원을 파견해 백성들을 위문하거나, 흉년이 든 하슬라(何瑟羅: 강원도 강릉) 지방의 세를 1년 동안 면제해 민심을 수습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백제의 독산성주(禿山城主)가 300명의 주민을 이끌고 투항하자 백제와 외교문제가 있었음에도 이를 받아주었으며, 동북경 지방에서는 말갈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방어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대등고(大等考)」(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신라상대왕위계승연구』(이종욱,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0)
「고대남당고」(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주석
주1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진(前秦)의 제3대 왕(338~385). 자는 영고(永固). 이름은 문옥(文玉). 묘호는 세조(世祖). 전연(前燕)과 전량(前涼)을 멸하고 강북 지방을 통일하였으나 동진(東晉)과의 페이수이(淝水) 싸움에서 크게 패하였다. 고구려에 순도를 보내 불교를 전파하기도 하였다. 재위 기간은 357~385년이다.    우리말샘

주2

중국의 오호 십육국 가운데 351년 저족(氐族)의 부건(苻健)이 세운 나라. 한때 화북(華北)을 통일하여 위세를 떨쳤으나, 394년 후진을 세운 강족(羌族) 출신의 요장(姚萇)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송나라 때에, 이방(李昉)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지은 백과사전. 고금의 사실을 널리 옛날 책 따위에서 구하고 1,860종의 서적으로부터 발췌하여 형법(刑法), 예악(禮樂), 의식(儀式) 따위의 55개 부문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977~983년에 간행되었다. 1,000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영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