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공 ()

목차
관련 정보
사회구조
제도
식자를 주조하거나 인쇄판을 새기고, 종이 · 직물 등의 재료에 인쇄하는 기계를 다루는 근로자.
이칭
이칭
인쇄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인쇄공은 식자(植字)를 주조하거나 인쇄판을 새기고, 종이·직물 등의 재료에 인쇄하는 기계를 다루는 근로자이다. 요즘에는 거의 사라진 직업이고 한국직업사전의 직업명은 인쇄원이다. 근대 이후 인쇄물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쇄 방식과 속도에 큰 발전이 이루어졌고, 업무도 세분화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개인용 컴퓨터 및 프린터의 보급과 활용, 복사 기계의 발달에 따라 인쇄공이라는 직업이 거의 사라졌다.

목차
정의
식자를 주조하거나 인쇄판을 새기고, 종이 · 직물 등의 재료에 인쇄하는 기계를 다루는 근로자.
내용

인쇄공은 요즘에는 거의 사라진 직업이며 한국직업사전의 직업명은 인쇄원이다. 과거에 인쇄는 나무 원판에 글자를 양각한 뒤 먹 등을 칠하고, 그 위에 한지 등을 덮어서 한 장씩 탁본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인쇄물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쇄 방식과 속도에 큰 발전이 이루어졌고, 인쇄공의 업무도 세분화되었다. 최근에는 개인용 컴퓨터 및 프린터의 보급과 활용에 따라 개개인이 기존의 인쇄공 역할을 하게 되었고, 복사 기계의 발달로 자동화까지 되어 인쇄공이라는 직업은 거의 사라졌다.

20세기 후반 이후부터 종이뿐만 아니라 금속, 플라스틱, 목재, 천, 비닐 등에도 인쇄가 이용되었는데, 현재는 이런 특수 분야의 인쇄공만이 일부 남아 있는 상태이다. 기술 문명이 우리보다 일찍 발달한 미국의 경우에는 20세기 말까지도 인쇄공이 준(準)전문직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존속되어 왔는데, 이는 이들이 강한 노동조합을 유지해 왔기 때문이다.

인쇄공은 크게 활자 주조(鑄造) · 조각공, 문선공(文選工), 식자공(植字工), 인쇄공(印刷工)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① 활자 주조 · 조각공은 활자의 본이 되는 자모를 조각하여 활자 주조기에 장치하고, 용해된 활자 합금을 뿜어내어 필요한 서체와 크기의 활자를 만드는 사람을 말한다. 특히 활자 주조공은 납을 용해하여 활자를 주조할 때, 납의 온도 측정 및 냉각수 장치를 계속해서 점검하는 일을 담당한다. ② 문선공은 주조실에서 넘어온 활자를 규격별, 종류별로 채자(採字) 상자에 넣은 뒤, 주어진 원고에 맞추어 필요한 서체와 크기의 활자를 한 자씩 뽑아 문선 상자에 담는 일을 한다. 그리고 채자한 문선 상자에 원고명, 문선공 이름 또는 부호를 기입한 쪽지를 붙여 식자공에게 넘긴다. ③ 식자공은 원고의 지시에 따라 채자된 활자를 배열하며, 판의 규격에 맞추어 자간 및 행간을 조절하고 필요한 구두점과 부호 등을 넣어 조판하는 일을 한다. 조판이 되면 교정쇄로 넘겨 교정 인쇄 및 교정을 한다. ④ 인쇄공은 각종 인쇄 기계를 다루는 사람으로서, 작업 내용에 따라 다시 오프셋(offset) 인쇄공, 활판 인쇄공 등으로 세분된다. 오프셋 인쇄공은 아연으로 된 금속 평판에서 고무천에 전사하여 각종 인쇄물을 인쇄하는 사람이다. 인쇄물의 종류, 용지, 잉크, 인쇄량, 인쇄 방식 등 각종 작업 내용을 파악하고, 인쇄기 점검 및 색도 · 망점의 검사, 잉크의 농도, 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등 오프셋 인쇄에 필요한 모든 작업 과정을 관리한다. 활판 인쇄공은 활판 조판 또는 지형 연판을 인쇄판으로 하여 각종 인쇄물을 인쇄하는 사람을 말하는데, 오프셋 인쇄공과 마찬가지로 인쇄에 필요한 모든 검사와 교정 작업 및 본인쇄 작업을 담당한다.

초기의 인쇄공은 글자를 다루는 직업으로 각종 원고를 식별해야 하므로 어느 정도의 학력을 필요로 했는데, 요즘에는 공공 직업 프로그램을 통해 훈련 과정을 이수할 수 있고 전문 대학의 인쇄 관련과에서 전문 기술을 습득할 수도 있다. 관련 자격 면허에는 인쇄 기능사, 인쇄 산업 기사 등이 있다.

현재 한국직업사전에서 인쇄공을 검색하면 스크린 인쇄원, 광디스크 인쇄원, 실크 인쇄원 등이 관련 직업으로 되어 있다. 실크 스크린 인쇄공은 제조된 스크린 틀을 이용하여 종이, 금속, 직물 및 기타 합성수지 제품에 도안이나 문자를 인쇄하는 일을 한다. 실크망사에 감광액을 입혀 필름에 의한 제판을 한 뒤, 스퀴지 또는 고무 롤러로 이 실크망을 통해 잉크를 밀어내어 인쇄한다. 광디스크 인쇄원은 복제가 완료된 광디스크(CD, DVD)의 표면에 인쇄기를 사용하여 각종 이미지를 인쇄한다. 광디스크 바탕 판에 실크 인쇄를 하고 자외선(UV) 건조를 한 후 디자인된 제판을 라벨 프린터에 장착한다. 건조된 광디스크를 카트리지(자동 투입 장치)에 담아 라벨 프린터에 투입하여 인쇄를 한다. 문자판 실크 인쇄원은 명세서에 드러난 모양을 내기 위해 인쇄 장비를 사용하여 시계의 문자판 표면에 실크 인쇄를 하는 인쇄원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중진 외, 『한국직업사전(통합본 제5판)』 (고용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202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인쇄공/집필자: 곽해선)』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직업의 세계』 (노동부,1986)
『한국스크린인쇄협회보』 (한국스크린인쇄공업협회,1987)
『인쇄문화』 (월간인쇄문화사,198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