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1,283㎡. 무덤의 지름 12.5m, 높이 3.8m, 면적 1,130㎡. 무덤은 경사진 지형을 이용해 외양을 흙으로 덮은 둥근 봉토분[圓形封土墳]이다.
이 능은 광복 전에 두 차례 도굴당했고 1981년에도 도굴당할 뻔했으나 주민들이 사전에 알아 미수에 그친 적이 있다. 이러한 일 때문에 능의 정비가 필요하게 되어 1984년 9월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봉분의 주변을 발굴 조사해 완전한 규모를 밝히게 되었고, 아울러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 정비하였다.
무덤의 밑 둘레를 따라 너비 30㎝, 길이 10∼100㎝의 잘 다듬은 장대석(長臺石)을 3단으로 쌓아올린 다음, 그 위에 길이 80㎝, 높이 15㎝ 내외의 장방형 갑석(甲石)을 올려 보호석렬(保護石列)을 마련하였다.
여기에 너비 35㎝, 길이 100∼130㎝의 단면 5각형의 받침석[支柱石] 20여 개가 무덤 둘레를 따라 190∼290㎝ 간격으로 받쳐져 있었다. 또한 봉분 밑 둘레 외곽으로 12개의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었다.
깊이 18㎝, 지름 25㎝ 크기의 구멍에는 곱돌[蠟石]로 만든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을 넣은 것이 확인되었는데, 쥐 · 돼지 · 소 · 닭 4개만 발견되었다. 다른 십이지상은 무덤의 외부 받침석이 마련될 때 파손되어 없어진 것 같다. 이 십이지상은 높이 10㎝ 내외의 작은 것으로 무덤의 바깥쪽을 보게 서있었다.
또한 주변에서 뼈단지[骨壺]가 발견되었다. 뚜껑에는 ‘元和十年(원화십년)’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원화는 중국 당나라 때의 연호로 원화 십년은 815년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