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숙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배신」, 「전황당인보기」, 「고가」 등을 저술한 소설가. 국문학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2년 11월 3일
사망 연도
1997년 9월 17일
출생지
평안북도 영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배신」, 「전황당인보기」, 「고가」 등을 저술한 소설가. 국문학자.
개설

호는 일오(一悟). 평안북도 영변 출생.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고려대학교 교수 및 한국문예진흥원장을 역임하였다. 1947년 전광용(全光溶)·정한모(鄭漢模) 등과 ‘시탑’·‘주막’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대학 재학 중이었던 1948년 단편 「흉가」가 『예술조선』 에 입선되고, 1952년 단편 「아담의 행로」·「광녀」를 발표하였다. 1953년 중편 「배신」이 『조선일보』 현상문예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하였다.

1955년 1월 『한국일보』에 발표한 단편 「전황당인보기」는 문방사우의 전통적인 미풍을 세속적인 이해와 대조하여 그린 작가의 초기 대표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전통적인 것의 아름다움은 사라져 가는 인장 예술의 말로로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그것만이 아니라 미풍과 양속 그리고 사라져 가는 전통적인 것들에 대한 애석함이 배어 있다. 정한숙은 이 작품을 고어투로 쓰고 있다. 이러한 문체상 특징은 이 작품으로 하여금 전통적인 것과 고풍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세속적 현실에 대한 환멸을 시적 서정성으로 느끼게 하는 효과를 획득하게도 해준다.

이 작품이 고풍스런 운치와 암시적 효과를 전달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것은 이 때문이다. 1956년 7월 『문학예술』에 발표한 단편 「고가」는 6·25를 배경으로 종가 제도를 유지하려는 구세대와 이것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신세대와의 갈등과 대립의 비극적 모습을 그리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한국의 당대 현실을 파헤치고 있는 가족사의 축소판이라고 평가된다. 이후에 발표한 「금당벽화」·「이성계」·「논개」 등은 역사소설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던 작품이다. 1980년대 후반에는 시를 써 발표하기도 했다.

다양한 소재와 다양한 수법으로 여러 가지 구성상의 실험을 시도하는 정한숙의 작품세계는 그가 이상주의자면서 동시에 현실주의자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정한숙 소설의 궁극적 의도는 새로운 시대상황에서 살아 갈 새로운 한국적 인간상의 창조라고 말할 수 있다.

작품에 드러나는 신구제도와 세대의 갈등, 현실에 대한 냉혹한 관찰, 끈질긴 이상의 추구 등에서 성실한 작가적 양심을 읽을 수 있다.

소설집으로 『애정지대』(1957)·『묘안묘심(描眼描心)』(1958)·『황진이(黃眞伊)』(1958)·『내 사랑의 편력(遍歷)』(1959)·『암흑의 계절』(1959)·『시몬의 회상』(1959)·『끊어진 다리』(1963)·『우린 서로 닮았다』(1966)·『조용한 아침』(1976)·『안개거리』(1983)·『말이 있는 팬터마임』(1985)·『대학로 축제』(1987) 등이 있다.

한국현대문학 관계 연구서로서 『현대한국소설론』(1973)·『소설기술론』(1975)·『현대한국작가론』(1976)·『해방문단사』(1980)·『현대한국문학사』(1982)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내성문학상(1957)·흙의 문학상·대학민국예술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참고문헌

「정한숙의 문학과 인간」(오탁번, 『문학사상』, 1997.10.)
「좌절과 의지의 인간학: 정한숙론」(김선학, 『문학사상』186, 1988.4.)
「백색의 세계」(김영화, 『현대문학』316, 1981.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