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릉 ()

조선시대사
유적
조선 태조의 비 신의왕후 안변한씨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신의왕후|태조
소재지
개성시 판문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제릉(齊陵)은 조선 태조의 비 신의왕후 안변한씨의 능이다. 신의왕후는 조선 건국 전에 승하해 해풍군 치속촌에서 장사지냈다. 1392년 제릉에 봉릉되었으며, 1407년에 왕릉의 규모로 개수하였다. 제릉은 현재 북한의 개성시 판문군 지동에 있으며, 북한 보존급 유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정의
조선 태조의 비 신의왕후 안변한씨의 능.
건립 경위

신의왕후(神懿王后, 3371391)는 조선 건국 전에 승하해 해풍군(海豐郡) 치속촌(治粟村)에서 장사를 지냈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시호를 절비(節妃)로 높여 제릉(齊陵)에 봉릉되었으며, 1398년에 신의왕후로 추존되었다. 1407년부터 1408년까지 제릉을 개수하였는데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 박자청(朴子靑, 13571423)이 난간석(欄干石), 돌사람 제작을 총괄하였다.

변천

제릉은 연경사(衍慶寺)라는 능사(陵寺)가 있었으며, 왕실에서는 노비와 토지를 내려보내 여러 차례 개축해 관리하였다. 특히 태종(太宗, 13671422, 재위 14001418)은 사재(私財)로 법회를 베풀어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도 하고, 해풍군 흥교사(興敎寺)의 탑을 연경사로 옮기기도 하였다.

형태와 특징

제릉은 상중하계(上中下階)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병풍석(屛風石)과 난간석을 두른 봉분이 있고, 그 주변에 양석(羊石)과 호석(虎石)이 배치되어 있다. 봉분의 정면에는 혼유석(魂遊石)이 있으며, 좌우에 망주석(望柱石)이 있다.

중계 중앙에는 장명등(長明燈)이 있으며, 좌우에 문석인(文石人)과 석마(石馬), 하계에는 무석인(武石人)과 석마가 있다. 능강 아래에는 정자각(丁字閣)과 비각(碑刻)이 있다. 『 춘관통고(春官通考)』 에 따르면 제릉에는 홍살문, 전사청(典祀廳), 제기고(祭器庫), 안향청(安香廳), 재실(齋室), 연못 등의 부속 시설이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없어졌다.

금석문

비각에는 1744년에 재건된 제릉 신도비(神道碑)와 1900년에 건립된 제릉 표석이 있다. 제릉 신도비는 1404년 태종이 건립하였는데 권근(權近, 13521409)이 비문을 짓고, 성석린(成石璘, 13381423)이 비문을 썼으며, 김첨(金瞻, 1354~1418)이 전액(篆額)을 써서 화장사(華莊寺)의 옛 비석을 갈아 새겼다.

임진왜란 때 제릉 신도비가 파괴되어 1744년에 재건하였다. 1899년 신의왕후를 고황후(高皇后)로 높이고, 1900년에 표석을 건립하였다.

의의 및 평가

제릉은 사실상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조선왕릉으로 태조(太祖, 13351408, 재위 13921398) 건원릉(健元陵)보다 먼저 완성되어 조선왕릉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제릉 돌거리 중 병풍석의 돌사람이 기린 모습의 머리 형태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제릉의 8각 장명등은 조선왕릉에서 가장 먼저 확인되는 8각 장명등으로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과 양식상 공통점이 있어 같은 장인들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제릉신도비영건청의궤(齊陵神道碑營建廳儀軌)』
『춘관통고(春官通考)』

단행본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Ⅰ』(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