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조법 ()

목차
관련 정보
종 제작과정
종 제작과정
공예
개념
거푸집에 녹인 쇳물을 부어 형태를 만드는 금속공예 기법.
목차
정의
거푸집에 녹인 쇳물을 부어 형태를 만드는 금속공예 기법.
내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같은 형태의 기물을 복수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단조법(鍛造法)과 함께 금속공예 성형에 대표적 기법으로 꼽힌다.

주조법은 서기전 1천년경의 청동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국내의 청동기유적에서 발견된 석제 거푸집은 늦어도 서기전 700년 전부터는 국산 청동기가 주조된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청동기에 이어 들어온 철기 역시 주조법으로 무기 및 생활용기를 제작하여 청동기시대 이후의 금속공예 발달에 적극 기여해 왔다. 이 기법은 청동기시대의 의기(儀器)를 비롯하여, 삼국시대 이래의 종 · 불상 · 초두 등 불교용구, 동호(銅壺) · 동합(銅盒) · 철부(鐵釜) 등 공예품, 금속활자 등을 만들 때 요긴하게 쓰였다. 주조된 공예품은 용범(鎔范), 주형(鑄型) 또는 주범(鑄范)으로 불리는 거푸집의 정교성에 따라 그 결과가 좌우된다.

청동기시대의 다뉴세문경(多紐細文鏡)이나 최근 부여 능산리에서 출토된 백제의 금동대향로(국보, 1996년 지정), 통일신라시대의 범종은 물론,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를 만들어낸 문화적 저력은 우리 나라 주조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해 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자 · 컴퍼스 등 기하학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정교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다뉴세문경과, 복잡한 부재들을 치밀하고 빼어난 조형 감각으로 완벽하게 주조해낸 금동향로의 제작기술은 무엇보다도 주조의 기본틀인 정교한 거푸집과 밀도 높은 표현이 가능한 밀랍성형 기법을 통해 얻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후대로 내려올수록 생활용기는 철기와 주2가 주종을 이룬다. 이 가운데 특히 주조법에 의한 주3유기는 구리와 아연을 합금하여 촛대 · 제기(祭器) · 화로를 비롯한 각종 생활용기를 만드는 데 널리 쓰였으며, 경기도 안성(安城)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주조법과 관련된 전통 기술분야는 유장(鍮匠) · 주장(鑄匠) · 야장(冶匠) 등이 있으며, 이들은 주4으로서 경공장(京工匠) · 외공장(外工匠) 체제에 분속되거나, 민간에서 민수용 금속공예품의 제작을 담당하였다.

근대 이후의 주조법은 쇳물을 녹이는 용해(熔解), 거푸집을 만드는 주형 및 중자(中子)의 제작, 주조과정을 담당하는 분야 등으로 전문화된 협업 또는 독립된 분업체제를 통해 제작되고 있으며, 모래 · 밀랍뿐 아니라 왁스 · 오징어뼈 등도 쓰인다.

주석
주1

구리로 만든 물시계. 우리말샘

주2

놋쇠로 만든 그릇. 우리말샘

주3

쇠붙이를 녹여 거푸집에 부은 다음, 굳혀서 만든 물건. 우리말샘

주4

고려ㆍ조선 시대에, 관아에 속한 장인.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공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