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명양수륙잡문 ()

불교
문헌
1581년, 수륙재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여 충청남도 서산 가야산 강당사(講堂寺)에서 간행한 불교 의례서.
문헌/고서
간행 시기
1581년(선조 14)
권책수
2권 1책
권수제
천지명양수륙잡문(天地冥陽水陸雜文)
판본
목판본
소장처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지명양수륙잡문(天地冥陽水陸雜文)』은 수륙재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불교 의례서이다. 1581년에 충청남도 서산 가야산 강당사(講堂寺)에서 간행된 이 판본은 화엄종 참학(參學)인 정순(正淳)이 교정하고 발문을 썼다. 『천지명양수륙잡문』은 1531년(중종 26)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 1572년(선조 5) 전라남도 강진 무위사, 1581년 충청남도 서산 강당사, 1635년(인조 13) 경기도 삭녕 용복사, 1655년(효종 6) 전라남도 영암 도갑사 등에서 간행되었다.

키워드
정의
1581년, 수륙재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여 충청남도 서산 가야산 강당사(講堂寺)에서 간행한 불교 의례서.
서지사항

『천지명양수륙잡문(天地冥陽水陸雜文)』은 『천지명양수륙잡문』의 여러 판본 중 1581년(선조 14) 충청남도 서산 가야산 강당사(講堂寺)에서 간행된 책이다. 2권 1책으로 된 목판본이며, 전체 142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천지명양수륙잡문』은 15세기 중엽 이후 설행(設行)의 편의를 위해 중국에서 수입되었다고 한다.

1581년 강당사에서 이 책을 간행할 당시 화엄종 참학(參學)인 정순(正淳)이 교정하고 발문(跋文)을 썼다. 책의 마지막에 실린 「수륙의문후발(水陸儀文後跋)」은 1496년(연산 2)에 지어진 글이다. 이 글에는 세조 때(1464년) 중국에서 『수륙잡문』을 구해서 주자(鑄字)로 인출하였다는 내용 등 당시 국내의 판각 상황과 설행에 대한 내용이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현존하는 『천지명양수륙잡문』의 판본 중 가장 이른 시기에 판간된 것은 1531년(중종 26)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에서 간행된 판본이다. 이 송광사본은 1581년에 간행된 강당사본보다 앞서 판각된 것이다. 이 외에 1572년(선조 5) 전라남도 강진 무위사본, 1635년(인조 13) 경기도 삭녕 용복사본, 1655년(효종 6) 전라남도 영암 도갑사본 등이 있다.

내용

상권에는 양(梁)나라 때부터 열리기 시작한 수륙재의 유래와 그 의미를 밝힌 수륙연기(水陸緣起), 표장(表章), 방문(榜文)이 수록되어 있다. 방문으로는 단문(壇門), 단방(壇榜), 금계사마외도(禁戒邪魔外道), 금훈신등(禁葷辛等), 식료(食寮), 대회(大會), 법사(法事), 무애연(無礙莚), 청성(請聖), 사중간경(四衆看經), 천당(天堂), 천륜(天輪), 지륜(地輪), 연지(蓮池), 금교(金橋), 망향대(望鄕臺), 사향령(思鄕嶺), 욕실(浴室), 정토(淨土), 화성(化城), 파전산(破錢山), 금전산(金錢山), 은전산(銀錢山), 고혼(孤魂), 지옥(地獄), 한림(寒林), 왕사성(枉死城) 등 총 27항목의 방문이 실려 있으며, 해당 방문에 대한 실례가 함께 실려 있다.

하권에는 각종 소문(疏文)과 첩문(牒文) 그리고 윤단도(輪壇圖) 등 수륙의식에 사용하는 문장들이 수록되어 있다. 소문과 첩문은 건회도처소성현(建會禱處所聖賢), 성전개계(聖前開啓), 가람토지(伽藍土地), 사직사자(四直使者), 사자토지(使者土地), 성황진재(城隍眞宰), 풍백우사(風伯雨師), 개통오로(開通五路), 예청상위(禮請上位) 그리고 천선(天仙), 지지(地祗), 시왕(十王), 가친(家親), 고혼(孤魂)을 청하는 글 및 삼보(三寶), 대회(大會), 원만파산(圓滿罷散) 등 수륙재를 진행하는 절차에 따른 내용과 실례를 간결하게 정리한 것이다. 윤단도에는 천륜도(天輪圖), 지륜도(地輪圖), 법계도(法界圖), 약사회도(藥師會圖), 파지옥단(破地獄壇), 정토단(淨土壇)이 도해(圖解)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삼성암, 1993)

단행본

논문

박영만, 「한국수륙재의문(韓國水陸齋儀文)의 성립 및 변용 연구」(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연제영, 「한국 수륙재의 의례와 설행양상」(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