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산 연무리 돌무지무덤 ( 돌무지무덤)

선사문화
유적
북한 자강도 초산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돌무지무덤. 적석총.
이칭
이칭
연무리적석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자강도 초산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돌무지무덤. 적석총.
개설

연무리 돌무지무덤은 연무리 소재지에서 서북으로 약 4㎞ 거리의 압록강 남안에 전개된 평야지대에 있다. 연무리와 인접한 운평리를 비롯해 주위에 많은 돌무지무덤이 분포되어 있다. 이 돌무지무덤은 북한 사회과학원 소속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에서 1988년 4월 26일부터 5월 15일까지 조사하였다.

내용

연무리 돌무지무덤 가운데 제2호는 기단 없이 막돌로 쌓아 만든 돌무지무덤이다. 규모는 남북 길이 28m, 동서 너비 16.5m, 높이 2.5m이다. 무덤덧널은 2∼3㎝ 두께의 사토층(沙土層)과 그 아래 40㎝ 정도의 모래섞인 검은흙층 밑에서 나타났다. 크기는 길이 3m, 너비 1.2m이다.

축조방법은 모래섞인 붉은흙층을 약 10㎝ 두께로 다져서 무덤덧널 바닥을 정지(整地)한 다음 납작한 돌들을 겹쳐 쌓아서 벽을 세웠다. 묵방리 제30호 고인돌, 운평리 4지구 제8호 돌무지무덤의 경우와 같이 무덤덧널 내에 자갈돌이나 막돌로 채워 넣는 방법으로 마무리하였다.

유물은 북쪽 무덤덧널의 모래섞인 검은흙층의 최하층과 무덤에서 뼈구슬·청동제품·토제품·녹청색유리편·토기편·노루 대퇴골·소 대퇴골편·돼지이빨 등 짐승의 각골편(角骨片)이 출토되었다. 특히, 토기의 문양은 융기된 곡선무늬·격자무늬·사각형 연속무늬가 장식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

의의와 평가

연무리 돌무지무덤 제2호는 평면에서 볼 때 네 모서리에 돌출부분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와 같은 구조의 고구려 돌무지무덤은 처음이다. 이 돌무지무덤과 형태가 유사한 일본 시마네현〔島根縣〕미즈호정〔瑞穗町〕의 사우돌출형방분(四隅突出形方墳) 또는 사우돌출형분구묘(四隅突出形墳丘墓) 발생시기는 야요이시대〔彌生時代〕후기인 3세기 이후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연무리 돌무지무덤 제2호는 일본에 소재하는 사우돌출형방분의 시원적 형태로 파악되는 유적으로서 중요하게 평가된다.

참고문헌

『북한문화유적발굴개보』(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1)
「자강도 초산군 연무리 제2호무덤 발굴중간보고」(리정남,『조선고고연구』1989년 4호,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