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서 ()

목차
관련 정보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해수욕장
민속·인류
개념
여름철에 더위를 피하여 시원하게 지내는 풍습.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피서는 여름철에 더위를 피하여 시원하게 지내는 풍습이다. 피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그늘을 찾는 것이다. 또는 시원한 계곡을 찾아 물에 발을 담그는 탁족을 하기도 한다. 부채나 죽부인 등 기구를 이용하거나 약을 먹어 더위를 이기려는 노력을 하기도 했다. 궁의 내의원에서는 더위를 대비하는 약으로 제호탕이나 옥추단을 진상하였다고 한다. 인삼이나 대추, 한약재가 들어간 삼계탕이나 백숙 등의 음식으로 몸을 보하는 방법도 있었다.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기 위해 정월 초에 미리 더위를 파는 풍습도 형성되었다.

목차
정의
여름철에 더위를 피하여 시원하게 지내는 풍습.
내용

기온이 상승하여 무더위에 시달리면 사람은 식욕이 떨어져서 영양실조를 일으키고 잔병이 생기며 기력이 쇠약하게 되어 질병에 걸리기 쉽다. 그래서 사람들은 더위를 피하여 덥지 않게 지내려는 노력을 하게 되고 오랜 생활경험을 통하여 피서하는 방법을 강조하는 지혜가 생기게 되었다.

피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는 따가운 햇살을 피해서 그늘을 찾는 일이다. 나무가 무성해서 녹음이 짙은 곳, 우선 햇볕을 가리는 일이 피서에 있어 초보적인 일이고 다음은 그늘지고 물이 흐르는 계곡을 찾는 일이다. 전국 도처에 약수터가 있어서 산 속에서 흘러나오는 약수를 마시면 이가 시릴 정도로 차가우므로 여름철에 깊은 산 속의 약수터를 찾아가게 된다.

계곡은 산과 산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조시간이 짧아서 서늘한데다가 물이 흐르고 있어 더위를 잊기에는 가장 알맞은 장소이다. 약수 물을 마시고 계곡 물에 발을 담그면 시원한데 이를 탁족(濯足)이라고 한다. 발바닥에는 신경이 집중되어 있어서 한방에서는 오장육부로 통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래서 탁족은 발만 물에 담그는 일이지만 온몸의 더위를 잊을 수가 있다.

흔히 가정에서도 대야에 물을 떠놓고 탁족을 해서 더위를 잊는 방법도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몸을 노출시키는 일을 꺼린다. 근래에 바다에 나가서 해수욕을 하는 풍속이 생겼으나 원래는 공개된 장소에서 알몸을 내놓는 일이 없었다.

어린 남자아이들은 개울에 나가서 목욕을 하여 더위를 피하고, 어른들은 해가 진 다음에 개울에 가서 몸을 씻거나 뒤뜰에서 물을 끼얹는 정도의 방법으로 더위를 식혔다. 더위는 인류가 여름철에 겪는 공통된 시달림이었으므로 적극적으로 기구를 이용하거나 약을 먹어 더위를 이기려는 노력도 하였다.

더위를 식히는 기구로는 부채가 가장 손쉬운 기구이다. 사람은 햇볕을 막고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막는 방법으로 부채를 발명하였는데 섬유질의 활엽(活葉)을 따서 말리면 단단하기 때문에 이것을 내둘러 바람을 일으키는 지혜가 있었으니 부채의 연원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부채에 관한 첫 기록은 왕건이 왕위에 올랐을 때에 후백제의 견훤이 공작선(孔雀扇)을 선사한 일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부채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부채는 바람을 일으켜서 적극적으로 더위를 막는 기구였다. 더위를 피하는 방법으로 죽부인(竹夫人)을 만들게 되었다.

고려시대 사람들은 여름에 홑이불이 몸에 밀착되면 더워 불편하므로 대나무를 깎아 엉성하게 엮어 공기가 통하게 만든 죽부인을 만들어 여름에 옆에 놓고 자는 지혜가 있었다. 신라 때의 석빙고(石氷庫)가 문화유적으로 지금도 남아 있고 서울에도 빙고 자리가 남아 있는 것은 여름에 더위를 피하기 위하여 겨울에 얼음을 저장해두었다가 여름에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더위를 피하려는 노력이 빙고를 만드는 과학기술로 발전한 것이다. 여름에 더위를 이기는 약으로 먹는 것에는 단오날 쑥을 뜯어두었다가 먹었고, 또 익모초(益母草) 즙을 내어 먹었으니 식욕을 돋우고 원기가 왕성해져 여름에 더위를 이길 수 있는 힘을 기르게 하였다. 창포(蒼蒲)물로 머리를 감고 창포비녀를 하는 풍속도 더위를 막으려는 주술행위의 하나이다.

궁 안에 있는 내의원에서 제호탕(醍醐湯)이나 옥추단(玉樞丹)을 만들어 진상한 것도 여름 더위에 대비하는 약이기 때문이다. 여름철은 음식이 쉬고 상하기 쉬워 조리에도 많은 조심을 하지만 더위를 식히는 시원한 음식으로는 냉면 · 냉국 · 냉콩국 등이 있다. 더위에 뜨거운 음식은 땀을 나게 하므로 찬 음식으로 피서하는 것이다.

또, 찬 음식과는 반대로 이열치열(以熱治熱)로 뜨거운 음식을 먹음으로써 땀을 흘리게 하여 몸을 보하는 방법도 있다. 보신탕 · 삼계탕 · 영계백숙 등이 그 대표적인 음식이다.

육류는 지방질이 많아 몸을 보하게 되고 여기에 인삼 · 대추 · 밤 · 찹쌀과 그 밖의 기호에 따라 한약재를 넣어서 고아 뜨겁게 먹으면 원기를 돋우어 더위를 이길 수 있다고 하여 무더위에 오히려 탕을 먹는 풍속이 오래 전부터 전승되어오고 있다.

더위를 피하려는 노력은 주로 여름에 행해지나, 정초에 미리 더위를 먹지 않도록 기원하는 주술로 상원날의 더위팔기(賣暑) 풍속이 있다. 이른 아침에 서로 이름을 불러 무심코 대답을 하면 “내 더위 사가게.” 하고 외쳐서 더위를 팔면 그 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고 지낼 수가 있다는 생각에서 이러한 세시풍속도 형성되었다. 옛 사람들의 생활에 있어 피서란 간절한 문제였기 때문에 정초의 더위팔기부터 시작하여 여름철에 지혜롭게 더위를 피하려는 여러 가지 방법이 고안되었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국세시풍속』(임동권, 서문당, 1973)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