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가야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개념
하가라, 남가라와 함께 고령의 대가야에 대비하여 후기의 금관가야를 부르는 국명.
이칭
이칭
하가라, 금관가야, 가락국, 금관국, 남가라
내용 요약

하가야는 하가라(下加羅), 남가라(南加羅)와 함께 고령의 대가야에 대비하여 후기의 금관가야를 부르는 국명이다. 하가야란 표현은 역사 기록에는 나오지 않으며, 『삼국사기』 잡지(雜誌) 악조(樂條)에 기록된 하가라라는 표현에서 가라(加羅) 대신 가야(加耶)를 넣어 조어(造語)한 것이다. 하가라를 금관가야로 보는 견해가 많지만, 고령의 상가라(上加羅)와 함께 대가야를 구성한 핵심 세력 가운데 하나로 보기도 한다.

목차
정의
하가라, 남가라와 함께 고령의 대가야에 대비하여 후기의 금관가야를 부르는 국명.
내용

하가야는 역사 기록에는 등장하지 않는 표현이며, 『 삼국사기』 잡지 악조에 기록된 하가라도(下加羅都)의 하가라에서 가라를 가야로 치환해 조어한 것이다. 가야를 부르는 이름은 다양한데, 그 가운데 가라의 경우 가야 전체를 나타내기도 하고, 고령대가야를 특정하는 경우도 있다.

하가야는 현재의 김해 일원에 존재했던 금관가야의 이칭이다. 그러나 『삼국사기』나 『 삼국유사』 등 옛 사서에 하가야라는 표현은 등장하지 않는다. 학계 일부에서 지리적으로 북쪽에 위치한 고령의 대가야를 상가야로, 남쪽에 위치한 금관가야를 하가야로 개념화한 것이다.

가야의 국명에 '상' 혹은 '하'자가 붙은 사례로 상가라와 하가라가 있다. 『삼국사기』 잡지 악조에 수록된 우륵 12곡(于勒12曲)의 곡명에서 상가라도(上加羅都), 하가라도가 확인된다. 상가라가 고령의 대가야를 지칭하는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이 없지만, 하가라가 어디인지를 둘러싸고 여러 견해가 제기되어 있다.

'하'라는 글자에 주목하여 고령보다 남쪽에 위치한 가야, 전기에 가야 연맹을 주도했던 가야라는 의미를 담아 금관가야를 하가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이와 달리 상 · 하 가라 모두 대가야 연맹을 주도한 핵심세력으로 보면서 하가라를 합천군 쌍책면 혹은 봉산면 일대의 세력으로 보기도 한다.

특히, 쌍책면 성산리에 소재하는 옥전(玉田) 주1에서는 고령 지산동(池山洞) 주2에 버금가는 다량의 위세품이 출토된 바 있다. 다만, 옥전 고분군 조영세력(造營勢力)을 다라(多羅)로 보는 견해가 있어 하가라가 다라의 이칭인지 등에 대해서는 상세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가야를 금관가야로 볼 경우 김해 대성동(大成洞) 주3에 묻힌 인물들이 하가야의 중심세력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대성동 일대에서는 서기 1~2세기경 축조된 주4를 비롯하여 2세기 후반 이후 5세기 초까지 만들어진 다수의 대형 주5가 발굴된 바 있다.

다만, 고령과 달리 김해 일원의 고고학 자료에서 5세기 중엽 이후의 유력한 세력의 존재를 확인하기 어려워 학계에서는 상가야에 대응하는 하가야가 실제 존재했는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단행본

이영식, 『가야제국사연구』(생각과종이, 2016)
이형기, 『대가야의 형성과 발전 연구』(경인문화사, 2009)
김태식,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푸른역사, 2002)
김태식, 『가야연맹사』(일조각, 1993)

논문

전덕재, 「대가야의 음악과 전승」(『대가야의 악(樂): 가야금과 우륵 12곡』,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 한성백제박물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백승충, 「가라국과 우륵십이곡」(『부대사학』 19, 부산대학교 사학회, 1995)
주석
주1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에 있는 가야 시대의 고분군. 발굴 조사를 통해 덧널무덤, 굴식 돌방무덤 따위의 다양한 무덤 형태가 조사되었다.

주2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리에 있는 대가야 고분군. 무덤의 겉모양은 모두 원형 봉토이며 내부 구조는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돌방무덤 따위로 다양하다.

주3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는 가야의 고분군. 널무덤 · 덧널무덤 · 굴식 돌방무덤 등 여러 형식의 무덤이 발굴되어 우리나라 고대 무덤 형식의 변화 과정을 보여 준다.

주4

구덩이를 파고 시체를 직접 넣거나 목관이나 목곽에 시체를 넣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무덤.    우리말샘

주5

관을 넣어 두는 널방을 나무로 만든 무덤. 평양 부근의 낙랑 고분, 경주 부근의 신라 고분이 이에 속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한상(대전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