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향
불교
물품
향내를 풍기는 물건, 또는 제전(祭奠)에 피우는 향내가 나는 물건의 통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향은 향내를 풍기는 물건, 또는 제전(祭奠)에 피우는 향내가 나는 물건을 말한다. 향기가 많은 나무조각, 나뭇잎 등으로 만들어 불에 태워서 향기를 낸다. 향을 태우면 나쁜 냄새를 없애고 심식(心識)을 깨끗하게 하므로, 불전에 피워서 꽃, 등불과 함께 공양하는 공양구로 사용한다. 불에 피우는 향 이외에 바르는 향인 도향(塗香)과 향수(香水) 등도 있다. 우리나라는 불교 전래와 함께 향을 사용하였으며, 중요한 법회나 의식에서 반드시 향을 사용하였다. 이는 향의 신성(神聖)으로써 종교의식의 내실을 삼기 위해서이다.

목차
정의
향내를 풍기는 물건, 또는 제전(祭奠)에 피우는 향내가 나는 물건의 통칭.
내용

범어로는 간다(gandha)이며, 건타(乾陀) · 건두(健杜) · 건태(健駄)는 그 음역이다.

향기가 많은 나무진 · 나무조각 · 나뭇잎 등으로 만들어 불에 태워서 향기를 피우는 물건으로, 이것을 태우면 나쁜 냄새를 없애고 심식(心識)을 깨끗하게 하므로 불전(佛前)에 피워서 꽃 · 등불과 함께 공양하는 공양구로 사용한다.

불에 피우는 향 이외에 바르는 향인 도향(塗香)과 향수(香水) 등도 있어 이것을 본존이나 수행자의 몸에 바르거나 땅에 뿌려서 더러운 냄새를 없애는 데 사용한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양나라에서 의복류와 향물(香物)을 보내왔는데 군신이 그 이름과 쓰는 법을 몰라, 묵호자(墨胡子)가 이를 향이라고 하였고, 또 이를 불에 사르면 향기가 몹시 풍겨 신성(神聖)에 정성이 통한다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보아 우리나라에 있어서 향의 사용은 불교 전래와 함께 점차 사용되었고, 그 뒤 중요한 법회나 작법의식(作法儀式)에서는 반드시 향을 사용하였다. 특히, 신라 8세기 중엽의 『백지묵서화엄경(白紙墨書華嚴經)』 사경(寫經)에 나타난 기록에 따르면, 사경에 사용되는 종이를 만드는 닥나무를 가꾸는 데는 닥나무밭에 향수를 뿌렸다.

또 사경법회(寫經法會)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향을 사르고 뿌린다고 하여 향은 불교의식에 있어서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향은 인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인도는 열대지역이므로, 대부분의 인도사람들은 몸에서 나는 땀과 냄새에 더욱 민감한 나머지 항상 향을 몸에 바르거나 또는 몸에 지님으로써 그 냄새를 제거하였다. 이로 인하여 향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았고 또 종교의식에 향을 살라 공양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이는 환향(丸香) · 말향(末香) · 연향(練香) · 선향(線香) 등의 구별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찰 등에 사용하는 막대형태의 향이 선향이다.

불교에서는 향냄새를 5진(塵) 즉 5경(境)의 하나라 하였고, 이는 코로써 취하는 대상물로 인식되었다. 이에 4종이 있는데 호향(好香) · 오향(惡香) · 평등향(平等香) · 불평등향(不平等香)이라 하였다. 즉 호향이란 맡기 좋은 것을 의미하고, 평등향은 등향(等香)이라고도 하여 향력(香力)이 균평(均平)하여 몸을 증익하는 것이라 하였고, 불평등향은 부등향(不等香)이라고도 하며 향력이 고르지 못한 것을 뜻한다.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에는 향의 종류를 매우 다양하게 열거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4종향은 침향(沈香) · 졸도로가향(窣堵魯迦香) · 용뇌향(龍腦香) · 사향(麝香)을 말하고, 5종향은 근향(根香) · 경향(莖香) · 엽향(葉香) · 화향(華香) · 과향(果香)을 말하며, 6종향은 식향(食香) · 음향(飮香) · 의향(衣香) · 장엄구향(莊嚴具香) · 승향(乘香) · 궁실향(宮室香), 7종향은 피향(皮香) · 엽향 · 소읍미라향(素泣謎羅香) · 전단향(栴檀香) · 삼신향(三辛香) · 훈향(熏香) · 말향(末香), 8종향은 구생향(俱生香) · 비구생향(非俱生香) · 항속향(恒續香) · 잡향(雜香) · 순향(純香) · 맹향(猛香) · 비맹향(非猛香)이다.

이들 외에도 불경에는 향의 종류를 수없이 열거하고 있다. 즉, 도향(塗香) · 말향(末香) · 과향(顆香) · 환향(丸香)을 4종향이라 하였고, 침수향(沈水香) · 백단향(白檀香) · 자단향(紫壇香) · 사라라향(沙羅羅香) · 천목향(天木香)을 5종의 견향(堅香)이라 하였다.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제13에는 계향(戒香) · 문향(聞香) · 시향(施香)의 3종향을 말하였고, 또 『제경요집(諸經要集)』 제5 등에는 계향 · 정향(定香) · 혜향(慧香) · 해탈향(解脫香) · 해탈지견향(解脫知見香)의 5분향(分香)을 말하고 있다.

이 모두가 향의 비유로써 석가 설법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향의 신성(神聖)으로써 종교의식의 내실을 삼으려는 데 그 근본이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 그 수많은 향의 각각의 재료나 제조과정은 일일이 알 수 없으며, 그 명칭은 불경에 나타난 법문의 비유로 인해 더욱 부각되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신라백지묵서화엄경」(황수영, 『미술자료』24, 국립중앙박물관, 197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충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