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어 ()

익산 숭림사 보광전 현어
익산 숭림사 보광전 현어
건축
물품
맞배지붕이나 팔작지붕의 측면에 설치하는 박공 아래에 매달아 놓는 장식물.
이칭
이칭
수어(垂魚), 야초(惹草)
물품
재질
목재
용도
박공면 장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현어(懸魚)는 맞배지붕이나 팔작지붕의 측면에 설치하는 박공 아래에 매달아 놓는 장식물이다. 오래전에는 물고기 형태로 조각한 나무판을 매달았기 때문에 현어라고 불렸다. 시간이 지나면서 물고기 모양에서 화려한 무늬를 새긴 나무 장식을 매다는 방식으로 변형되었다. 화재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 물고기 모양의 현어를 달았다고 한다.

키워드
목차
정의
맞배지붕이나 팔작지붕의 측면에 설치하는 박공 아래에 매달아 놓는 장식물.
연원

팔작지붕맞배지붕의 합각면은 빗물에 직접 노출되기가 쉽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집을 지을 때, 도리를 벽체보다 길게 노출시키고 서까래를 얹어 빗물이 벽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만들었다. 이 경우 서까래는 박공(朴工)이 막아주기 때문에 빗물에 썩을 가능성이 적지만, 직경이 훨씬 큰 도리는 끝부분이 비에 노출되어 썩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리가 나온 부분의 박공 아래에 나무 장식을 덧대었는데, 이것이 현어의 시초로 추정된다.

변천 및 현황

현어(懸魚)라는 용어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과 일본에서도 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것이었다. 우리나라에서 현어가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 옥사조(屋舍條)에서 나온다. 여기에는 진골 이하의 집에 현어를 달지 못하게 했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중국 송나라의 건축 서적인 『영조법식(營造法式)』에서는 현어를 도설과 함께 ‘수어(垂魚)’와 ‘야초(惹草)’로 기록하고 있다. 종도리가 놓이는 부분에 설치하는 부자재를 수어라고 불렀고, 중도리가 놓이는 부분에 설치하는 부자재를 야초라고 했다. 화려하게 조각한 것은 조운수어(雕雲垂魚), 조각이 없는 것은 색수어(索垂魚)라 불렀다.

고려시대에 그려진 여러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에는 많은 건축물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들 건물의 지붕에서 현어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시 고려 말까지 박공에 현어를 매달아 거는 것이 일상적이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지붕의 형태가 크게 바뀌기 시작한다. 맞배지붕의 경우에는 박공 하부에 세로로 긴 널판지를 연달아 걸어 일종의 벽체를 만들었는데 이것을 풍판이라고 한다. 팔작지붕 역시 맞배지붕과 같이 박공 하부에 나무판으로 풍판을 조성하거나 다른 재료를 사용해 완전한 벽체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러한 까닭에 조선시대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건축에서는 현어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현어와 유사한 형태의 판재가 박공면에 설치된 것은 익산 숭림사 보광전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영조법식(營造法式)』

단행본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용어사전』(동녘, 2007)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