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송 ()

구미 독동리 반송
구미 독동리 반송
식물
동식물
소나무과 소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
정의
소나무과 소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
내용

반송은 소나무의 한 품종으로 나무의 생김새가 쟁반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품종이란 원래의 종(種)과 비슷하지만 모양이 조금 다른 것을 말한다. 소나무는 외줄기가 올라와 자라는 것에 비하여 반송은 밑에서부터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학명은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이다.

반송은 수형이 아름다워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경우가 많은데, 무주 삼공리 반송(천연기념물, 1982년 지정), 문경 화산리 반송(천연기념물, 1982년 지정), 상주 상현리 반송(천연기념물, 1982년 지정), 구미 독동리 반송(천연기념물, 1988년 지정), 함양 목현리 구송(천연기념물, 1988년 지정), 영양 답곡리 만지송(천연기념물, 1998년 지정) 등이 대표적이다. 요즘에는 공원이나 정원의 조경수로 각광받고 있다.

반송이 자라는 환경은 소나무와 유사하여 북부 고원지대와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과 같은 높은 산 정상부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 소나무와 섞여 자란다. 소나무와 같이 배수가 잘 되는 주1에서 잘 자라며, 건조한 환경을 잘 견디는 내건성 식물이다.

소나무가 햇빛이 잘 들어야 살아가는 극양수임에 반해 반송은 충분한 광선을 필요로 하지만 다소 음지에서도 견디는 중내음성 수목이다. 4∼5월에 암꽃과 수꽃이 한 그루에 피며, 열매는 이듬해 9∼10월에 익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반송은 아름다운 모양새 때문에 옛날부터 선비들이 좋아했다. 조선 초기 한양에서 개성으로 가는 길목인 지금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주2 부근에는 고려 때부터 커다란 반송 한 그루가 자라고 있었다. 그늘이 수십 보를 덮을 만큼 큰 나무라서 길 가는 사람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었다.

고려시대 어느 임금도 남쪽으로 행차를 하다가 비를 만나 잠시 반송 밑으로 피한 적이 있었는데, 훗날 ‘반송정(盤松亭)’이란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한다. 1407년(태종 7)에는 반송정 옆에 중국 사신을 맞이하는 모화루(慕華樓)를 짓고 서지(西池)라는 못까지 팠다고 전해진다.

반송정은 귀한 손님을 맞이할 때나 떠나보낼 때 ‘영접과 환송의 장소’로 유명했다. 그래서 옛 문인들의 ‘반송송객(盤松送客)’이란 시가 다수 전해져 온다. 조선 초기의 학자 서거정(徐居正)의 한도십영(漢都十詠: 한양의 10경을 노래한 시)에도 반송송객이 포함되어 있다.

참고문헌

『(문화로 역사로 만나는) 우리 나무의 세계』2(박상진, 김영사, 2011)
『(역사와 문화로 읽는) 나무사전』(강판권, 글항아리, 2010)
『우리나라 나무 이야기』(박영하, 이비락, 2004)
『원색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2003)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www.nature.go.kr)
천연기념물센터(www.nhc.go.kr)
주석
주1

모래 성분이 많은 흙.    우리말샘

주2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동. 서대문구의 동부에 위치해 있다. 서쪽으로 안산에 걸쳐 있으며,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비롯한 주거 지역과 상업 시설이 밀집해 있다. 남쪽으로 감리교 신학 대학교를 접하고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호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