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록싸리

식물
생물
콩과 싸리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정의
콩과 싸리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내용

조록싸리는 콩과의 작은키나무이다. 높이는 1∼3m 정도로 자란다. 한반도와 일본의 쓰시마섬, 중국 중부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관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학명은 Lespedeza maximowiczii C.K.Schneid.이다.

우리나라에는 22종의 싸리 종류들이 있는데, 모양이 서로 많이 닮아 종류 구분 없이 그냥 싸리라고 부른다. 그 중 흔히 만날 수 있는 종류는 싸리, 참싸리, 조록싸리이다. 모두 하나의 잎자루에 작은 잎이 세 장씩 달리는 3출엽(三出葉)이다. 싸리와 참싸리는 잎의 끝이 둥근데 비하여 조록싸리는 끝이 뾰족한 잎을 가져 구분된다.

3개의 작은 잎이 어긋나게 달리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6∼7월에 홍자색의 양성화가 모여 달린다. 싸리나무류 중 그늘에서 가장 잘 자라기 때문에 울창한 숲 속에서도 흔하게 군락을 이룬다. 척박한 토양에서도 살아갈 수 있으며, 바닷가와 도시에서도 잘 자란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옛사람들에게 싸리나무는 다른 어떤 나무보다 생활용품을 제작하는 데 두루 쓰였다. 일반 백성들의 집에 들어가려면 먼저 싸리로 엮은 사립문을 밀고 들어가야 한다. 또 마당에 놓인 싸리비, 삼태기, 지게 위에 얹는 바소쿠리와 부엌에 두는 광주리, 키 등 거의 대부분이 싸리 제품이었다.

집을 지을 때는 기둥과 기둥 사이를 먼저 싸리로 엮고 그 위에 흙을 발랐다. 명절날의 윷놀이에 쓰는 윷짝 역시 싸리나무였다. 군수물자로도 싸리나무는 빠지지 않는데, 화살대는 남부지방의 경우 이대를 주로 사용했으나, 대나무가 자라지 않는 북부지방의 경우 싸리나무나 광대싸리로 만들었다.

『용비어천가』에는 “태조는 초명적(哨鳴鏑)이라는 큰 화살을 잘 이용했다. 이는 싸리나무로 화살대를 만들고 학의 날개로 넓고 길게 깃을 달았으며, 사슴뿔로 화살촉을 만들었다. 촉이 무겁고 대가 긴 것이 보통 화살과 같지 않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 다른 귀중한 쓰임새는 횃불이었다. 기름이 풍족하지 않았던 시절에 횃불에는 대부분 싸리를 사용했다.

조록싸리는 싸리 중에서도 내음성이 강하여 숲속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다. 싸리나무는 콩과 식물 특유의 공중질소 고정능력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도로 절개지나 황폐지 등 척박한 곳의 녹화식물로 많이 사용된다.

참고문헌

『(문화로 역사로 만나는) 우리 나무의 세계』1(박상진, 김영사, 2011)
『한국의 나무』(김진석·김태영, 돌베개, 2011)
『원색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2003)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www.nature.go.kr)
집필자
이호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