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鎭田面) 두산리(杜山里) 출신이다.
삼진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8일 경상남도 창원군 진동면(鎭東綿) 고현리 장터에서의 만세운동을 주동하고 피신한 변상태(卞相泰), 권영대(權寧大), 권태용(權泰容) 등이 재의거를 계획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4월 3일 진전면 양촌리 냇가로 거사 일시와 장소를 정했는데, 4월 3일은 삼월 삼짇날이라 하여 많은 사람들이 모이기 적합한 날이기도 하였다.
이에 4월 1일 변상태는 황태익(黃泰益)과 함께 변우범(卞又範)의 집에서 거사 계획을 논의하는 한편, 변우섭(卞又燮) · 황태익 등과 함께 마을의 서당에서 태극기를 만들어 주민들에게 나누어주기로 하였다.
4월 2일 오전에는 변상헌(卞相憲), 황치순(黃致淳), 변상섭(卞相攝), 변상술(卞相述) 등이 진전면 봉암리로 구장 구수서(具守書)를 찾아가 의거일에 대중 동원을 당부하였으며, 거사 당일 수십 명의 군중을 모아 시위에 참여하였다.
권태용도 같은 날 오전 진전면 율치리의 김순삼(金順三)의 집에서 김영종(金永鍾)에게 만세시위에 참여해 줄 것을 당부하였으며, 그는 태극기를 만들고 100여 명의 군중을 모아 시위에 참여하였다.
이날 정오에는 변상태가 진전면 양촌리의 토지 개간장에 모인 농민 100여 명에게 시위에 참여할 것을 호소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4월 3일이 되자 오전 9시경 군중들이 모이기 시작하였으며, 수천의 시위대는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헌병 주재소가 있는 진동면을 향해 행진하였다. 한편, 소식을 접한 헌병 주재소에서는 마산 육군 중포병대대에 지원을 요청하고, 무장 헌병과 헌병 보조원 및 일본 재향군인 30여 명을 사동교(社洞橋) 건너편에 배치하고 시위대의 행진을 막았다.
이후 수천 명의 시위대와 헌병대 사이에는 격렬한 몸싸움이 일어났으며, 이기봉(李基鳳) · 김수동(金守東), 변갑섭(卞甲燮), 김영환(金英煥) 등 8명이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