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 ( )

불교
물품
국가유산
조선 전기, 순천 송광사에서 수륙재의 유래, 방문 등을 정리한 『천지명양수륙잡문』을 새긴 목판.
이칭
이칭
수륙잡문 목판(水陸雜文 木板)
물품
재질
목재
용도
출판
소장처
송광사
제작 시기
1531년(중종 26)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天地冥陽水陸雜文 木板)
분류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6년 09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송광면, 송광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은 조선 전기, 순천 송광사에서 수륙재의 유래, 방문 등을 정리한 『천지명양수륙잡문』을 새긴 목판이다. 1531년(중종 26) 5월에 송광사에서 판각하였다. 16세기에 간행된 것 중에서는 송광사본이 가장 앞서며, 조선시대에 간행된 『천지명양수륙잡문』의 현전 판본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존 상태도 양호하여 자료적 가치가 크다.

정의
조선 전기, 순천 송광사에서 수륙재의 유래, 방문 등을 정리한 『천지명양수륙잡문』을 새긴 목판.
연원

천지명양수륙잡문』은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는데, 수륙재(水陸齋)의 유래와 표장(表章), 방문(榜文), 소문(疏文), 첩문(牒文), 윤단도(輪壇圖) 등이 실려 있는 책이다. 간행본은 조선 전기의 금속활자본[1464년], 목활자본[1496년]과 함께 16세기 이후에도 꾸준히 간행되었다.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은 1531년 5월에 송광사에서 판각하였다. 16세기에 간행된 것 중에서는 송광사본이 가장 앞선다.

형태와 제작 방식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은 전체 38매로 구성되어 있다. 손상된 부분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모두 38매로 “가정십년신묘오월일전라도순천토조계산송광사개간(嘉靖十年辛卯五月日全羅道順天土曹溪山松廣寺開刊)”의 간행 기록으로 보아 1531년 5월에 송광사에서 판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변천 및 현황

송광사 소장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의 현전 판본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여 자료적 가치가 크다. 2016년 9월 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의 사찰 문화재, 2019 전국 사찰 목판 일제조사』 20(문화재청, 2020)
박세민 편,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삼성암, 1993)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집필자
김성주(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