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윤 작 낙파필희 ( )

회화
작품
문화재
조선 중기의 왕족 화가 낙파 이경윤의 화첩.
작품/서화
작가
이경윤(李慶胤)
소장처
경남대학교 박물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2010년 10월 14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 (월영동, 경남대학교)
내용 요약

「이경윤 작 낙파필희」는 조선 중기의 왕족 화가 낙파 이경윤의 화첩이다. 모두 6첩의 그림이 실려 있다. 일본 야마구치현립대학 도서관 데라우치문고에 소장되어 있다가, 1996년 경남대학교가 야마구치현립대학으로부터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받았는데, 그 중에 이 화첩이 포함되었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일괄 지정되었고, 경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조선 중기의 왕족 화가 낙파 이경윤의 화첩.
제작 배경

여섯 점의 그림과 각 그림마다 오봉(五峯) 이호민(李好閔)과 어우당(於于堂) 유몽인(柳夢寅)의 제시(題詩)가 실려 있으나 정확한 제작 배경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 화첩은 일제강점기에 초대 통감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수집했던 자료 가운데 포함되어 있다. 일본 야마구치현립대학 도서관 데라우치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다가, 1996년 경남대학교가 야마구치현립대학으로부터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받아 보관하고 있는데, 그중 1종이다. 2010년 10월 14일 '데라우치 기증 고서화 일괄'이라는 명칭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는 가운데 포함되었다.

내용

「임연여직도(林烟如織圖)」 1, 「연자멱시도(撚髭覓詩圖)」, 「월반노안도(月伴蘆雁圖)」, 「운회창죽도(雲晦蒼竹圖)」, 「송하탄기도(松下彈棋圖)」, 「임연여직도」 2 등 모두 6첩의 그림이 실려 있다. 각 그림에는 이호민과 유몽인의 제시가 실려 있다.

형태 및 특징

화첩의 상부 접착 부분에 화재로 인해 손상된 흔적이 남아 있다.

의의 및 평가

낙파(駱波) 이경윤(李慶胤, 1545~1611) 작품의 기준작으로 삼을 만한 사례로 호림박물관 소장 『산수인물첩(山水人物帖)』이 있다. 이 첩을 기준작으로 삼는 이유는 최립(崔岦)이 쓴 발문이 서첩에 포함되어 있고, 화격(畵格) 또한 높기 때문이다.

『낙파필희』에 실린 그림들의 화풍 또한 『산수인물첩』과 공통점이 많고, 이경윤과 가깝게 교류하였던 이호민과 유몽인의 제시가 각 그림마다에 실려 있다. 그리고 그 제시들은 그림의 각 장면과 일치하고 있어 그림을 보지 않고는 지을 수 없는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낙파필희』 역시 이경윤의 작품임을 인정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낙파필희』를 이경윤의 기준작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시 · 서 · 화에 깃든 조선의 마음: 경남대 박물관 소장 ‘데라우치 문고’ 보물』(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 경남대학교박물관, 2006)

웹페이지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집필자
성인근(경기대학교 초빙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