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 백자 성새산수문 병 ( )

공예
작품
국가유산
19세기 제작된 성새와 산수가 시문된 청화백자병.
작품/조각·공예
소장처
서울역사박물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화백자성새산수문병(靑華白磁城塞山水文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2년 08월 1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청화백자성새산수문병은 19세기 제작된 성새와 산수문을 묘사한 청화백자병이다. 목이 길고 무게중심이 전체적으로 아래에 있는 전형적인 19세기 백자 주병이다. 청백색의 유색과 광택이 뛰어나다. 또한 청화로 성새 장면을 묘사한 희소성을 지니고 있다.

정의
19세기 제작된 성새와 산수가 시문된 청화백자병.
제작 배경

청화백자성새산수문병(靑華白磁城塞山水文甁)은 18세기 들어 광주 관요의 장인들에게 사사로이 그릇을 번조하여 시장에 내다팔 수 있는 사번이 허용되어 왕실 이외 사대부, 중인 등 새로운 소비층이 등장하여 소상팔경문(瀟湘八景文)을 비롯하여 다양한 산수문을 원하였고, 중국으로부터 각종 화보의 전래 등이 영향을 미쳐 생산되었다.

형태 및 특징

청화백자성새산수문병은 아가리의 끝이 작고 둥글게 마무리 되어 있으며, 목이 길게 직립한 19세기 백자 형태를 지니고 있다. 몸체 아랫부분은 넓게 퍼져 풍만한 양감과 안정감을 보여주고 있다. 유약은 투명하고 광택이 있으며 청화의 발색도 선명하다.

아가리에는 접착 수리된 흔적이 있다. 병의 기형은 목이 길고 무게중심이 전체적으로 아래에 있는 전형적인 19세기 백자 주병이다. 청백색의 유색과 광택이 뛰어나다.

문양은 세필(細筆)로 성과 요새인 성새(城塞)와 산수를 표현하고 있다. 특히 성새를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주거지와 강상(江上)의 전경(全景)을 표현한 점이 특징이다.

강과 성벽에 둘러싸인 성벽과 그 안의 거주지가 묘사되었고 상단에는 달이 표현되었다. 하단 좌우에는 강에 정박해 있는 여러 척의 배들이 배치되었다. 19세기 청화백자 산수문은 소상팔경문이나 시의도(詩意圖) 등이 주를 이루지만 성새를 표현하는 경우는 드물다.

의의 및 평가

청화백자성새산수문병은 드물게 청화로 성새(城塞) 장면을 묘사한 희소성을 지니고 있다. 2002년 8월 16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방병선, 『순백으로 빚어낸 조선의 마음, 백자』(돌베개, 2002)

논문

정은주, 「조선후기 청화백자 산수문양의 전개양상」(『고문화』 69,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7)

웹페이지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