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권2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4세기에서 15세기 초 고려대장경판을 저본으로 다시 판각하여 찍어낸 것으로 추정되는 천태종의 기본 경전.
이칭
이칭
법화경
문헌/고서
간행 시기
14세기~15세기 초
편저자
계환(戒環)
권책수
1권 1첩
판본
목판본
표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소장처
대한불교천태종 관문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2008년 5월 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7길 111 대한불교천태종 관문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묘법연화경 권2(妙法蓮華經 卷2)는 14세기에서 15세기 초 고려대장경판을 저본으로 다시 판각하여 찍어낸 것으로 추정되는 천태종의 기본 경전이다. 『묘법연화경』은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구마라습(鳩摩羅什)이 한역(漢譯)하였다. 이 책은 간행 기록이 없지만 권수제(卷首題) 아래에 천자문(千字文) 함차(函次) 표시인 “명(鳴)”자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대장경판을 저본으로 판각해서 다시 찍어낸 것으로 추정된다.

정의
14세기에서 15세기 초 고려대장경판을 저본으로 다시 판각하여 찍어낸 것으로 추정되는 천태종의 기본 경전.
서지사항

1권(卷) 1첩(帖)으로 된 목판본이다. 표지는 병풍과 같은 형태인 절첩장(折帖裝)으로 되어 있다. 책의 크기는 세로 32.9㎝, 가로 11.0㎝이다. 종이는 닥나무를 원료로 만든 저지(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는 녹색의 문양으로 새로 만든 표지로 장정하였다. 표지에는 별도의 흰 종이에 검은 글씨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라고 제목을 써서 붙였다.

판식(版式)은 위아래로 검은 선을 그은 단변(單邊)이고 계선(界線)은 없다. 본문 전체 행자 수는 36행 17자로 배열되어 있다. 한 면에 6행씩 절첩하여 절첩장으로 만들었다. 권의 끝부분 제 1권과 제 2권에 난독자(難讀字)에 대한 음(音)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묘법연화경』은 법화사상(法華思想)을 담고 있는 천태종의 기본 경전으로 남북조시대 구마라습이 한역하였으며, 송나라의 계환(戒環)이 주해(註解)하였다. 이 책은 간행 기록이 없어 찍어낸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권수제(卷首題) 아래에 천자문 함차 표시인 “명”자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려대장경판(高麗大藏經板)을 바탕으로 다시 판각한 책임을 알 수 있다.

찍어낸 시기는 14세기~15세기 초로 추정된다.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천태종 관문사(觀門寺)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구성과 내용

『묘법연화경』은 천태종의 근본이 되는 경전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기본 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 사상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현재까지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 경전이다.

흔히 『법화경(法華經)』이라 부르며, 구마라습이 번역한 것으로 모두 28품(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28품의 내용은 삼승(三乘) 귀일(歸一)을 통해서 일승법(一乘法)을 강조하며, 여래(如來)의 본지(本地) 및 구원(久遠) 성불(成佛) 등 후대 법화사상의 정수가 되었던 중요 사상들이 모두 들어 있다.

경(經)의 전체 구성은 1경(經) 3단(段), 즉 서분(序分), 정종분(正宗分), 유통분(流通分) 등으로 나누어진다. 제1서품(序品)은 서분에 해당하며, 제2품부터 제17품까지는 정종분, 제18품부터 제28품까지는 유통분에 해당한다. 이렇게 28품으로 구성된 것을 7권으로 묶었는데, 그중 『묘법연화경』 은 권2에 해당한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고려 말과 조선 초에 유행하였던 절첩용 판식에서 찍어낸 천태종 경전으로 조선 전기 불교사 연구와 서지학 연구에 있어 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서울의 문화재』(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박상국, 『全國寺刹所藏木板集』(문화재관리국, 1987)

논문

정왕근, 「朝鮮時代 『妙法蓮華經』의 板本 硏究」(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강순애, 「조선조 활자본계의 묘법연화경 판본에 관한 연구」(『한국비블리아학회지』 10, 한국비블리아학회, 1999)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집필자
안미경(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