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우자 수심결 · 법어(牧牛子 修心訣 · 法語)는 1500년(연산군 6), 경상도 합천 가야산 봉서사에서 번각한 보조국사 지눌의 저서이다. 이 책은 보조국사 지눌이 지은 『수심결(修心訣)』에 구결(口訣)을 달고 신미(信眉)가 한글로 번역하여 풀이한 것이다. 1467년(세조 13) 간경도감에서 왕명을 받아 간행한 것을 1500년 봉서사(鳳栖寺)에서 다시 새겼다. 경민(冏敏)이 번각(飜刻)을 주관하였으며, 경담(冏湛)과 윤정(胤禎)이 각수(刻手)로 참여하였다. 번각본이지만 글자를 정교하게 새겼기 때문에 인쇄 상태가 선명한 편이다.
목우자 수심결 · 법어는 권(卷)으로 나누지 않고 1책으로 묶었다. 표지는 오침(五針)으로 묶은 선장본(線裝本)이다. 목판(木版)에서 인쇄하였다.
판식(板式)은 광곽(匡郭)의 네 둘레에 두 줄로 검은 선을 그은 다음, 본문의 각 줄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검은 선을 그었다. 본문의 행자 수는 9행 17자로 배열되어 있다. 주(註)는 작은 글자로 두 줄로 새겼다. 판심(版心)에는 위아래에 흑구(黑口)와 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가 있다.
책의 끝에는 해인사(海印寺)의 승려 등곡(燈谷)이 1500년에 쓴 발문(跋文)이 있는데, “홍치십삼년자자월해인사노납등곡(弘治十三年自恣月海印寺老衲燈谷)”이라 되어 있다. 이어 “경상도합천지가야산봉서사개판(慶尙道陜川地伽倻山鳳栖寺開板)”이라는 간행 기록이 나오는데, 이 기록을 통하여 이 책은 간경도감본(刊經都監本)을 바탕으로 가야산 봉서사에서 번각(飜刻)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간경도감본의 본문과 역해(譯解)는 당대의 명필가인 안혜(安惠), 유환(柳晥), 박경(朴耕) 등이 정성스럽게 필사하여 새겼기 때문에 번각본(飜刻本) 또한 글자가 정교한 편이다. 이때 새긴 목판이 현재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이 책은 지눌이 마음을 닦는 방법과 마음이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하여 그 비결을 제시한 책이다. 수심(修心)의 기초가 되는 공적영지심(空寂靈知心)의 성격을 밝히고, 수심(修心)의 체계로서 돈오점수론(頓悟漸修論)의 내용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서 정혜쌍수론(定慧雙修論)을 9개의 문답 형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책 뒤에는 4개의 법어(法語)가 한데 묶여 있다. 신미가 역결(譯訣)한 “환산정응선사시몽산법어(晥山正凝禪師示蒙山法語)”, “동산숭장주송자행각법어(東山崇藏主送子行脚法語)”, “몽산화상시중(蒙山和尙示衆)”, “고택화상법어(古澤和尙法語)” 등이다.
이 책은 비록 간경도감본의 번각본이지만, 글자체와 새김이 정교하고 인쇄 상태 또한 좋은 편이다. 한글로 번역한 책이기 때문에 한글의 변천과정을 살피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거주하는 개인이 소장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