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권3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457년(세조 3)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로 찍은 천태종의 기본 경전.
이칭
이칭
법화경
문헌/고서
간행 시기
1457년
편저자
계환(戒環)
권책수
1권 1책
판본
활자본
표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소장처
대한불교천태종 관문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2008년 5월 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7길 111 대한불교천태종 관문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묘법연화경 권3(妙法蓮華經 卷三)은 1457년(세조 3)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로 찍은 천태종의 기본 경전이다. 『묘법연화경』은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 경전이다.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구마라습(鳩摩羅什)이 한역(漢譯)한 것을 송나라의 계환(戒環)이 주해(註解)하였다. 이 책은 세조가 아들 의경세자(懿敬世子)의 명복을 빌기 위해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1457년에 찍은 것이다.

정의
1457년(세조 3)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로 찍은 천태종의 기본 경전.
서지사항

1권 1책으로 총 47장이다. 표지는 개장(改裝)하였다. 황색 바탕에 붉은 실로 오침안정법(五針眼訂法)의 선장(線裝)을 하였다. 책의 크기는 세로 37.9㎝, 가로 22.5㎝이다. 표지에는 별도의 흰 종이에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라고 제목을 써서 붙였다.

판식(版式)은 사주단변(四周單邊) 유계(有界)로, 행자 수는 한 면에 10행 17자씩 배열되어 있다. 주해는 작은 글자로 두 줄로 새겼다.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는 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를 표시하고 있다. 판심에 있는 책 제목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으로 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묘법연화경』은 법화사상(法華思想)을 담고 있는 천태종의 기본 경전으로 흔히 『법화경(法華經)』이라 부른다. 남북조시대 구마라습이 한역하였으며, 송나라의 계환이 주해하였다.

이 책은 세조가 1457년 아들 의경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금강경(金剛經)』과 함께 1434년( 세종 16)에 주조된 초주갑인자로 찍었다. 주조한 지 20여 년이 지난 후에 찍었으므로 활자에 마멸이 생기거나 없어진 부분에 나무 활자와 쇠 활자로 보충하였다.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천태종 관문사(觀門寺)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구성과 내용

『묘법연화경』 은 천태종의 근본이 되는 경전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 사상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현재까지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 경전이다.

흔히 『법화경(法華經)』이라 부르며 구마라습이 번역한 것으로 모두 28품(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28품의 내용은 삼승(三乘) 귀일(歸一)을 통해서 일승법(一乘法)을 강조하며, 여래(如來)의 본지(本地) 및 구원(久遠) 성불(成佛) 등 후대 법화사상의 정수가 되었던 중요 사상들이 모두 들어 있다.

경(經)의 전체 구성은 1경(經) 3단(段), 즉 서분(序分), 정종분(正宗分), 유통분(流通分) 등으로 나누어진다. 제1서품(序品)은 서분에 해당하며, 제2품부터 제17품까지는 정종분, 제18품부터 제28품까지는 유통분에 해당한다. 이렇게 28품으로 구성된 것을 7권으로 묶었는데, 그중 『묘법연화경』은 권3에 해당한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로 찍은 책으로, 전체적인 판각의 상태와 인쇄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조선 전기 금속활자의 인쇄술과 왕실의 불교 신앙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서울의 문화재』(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정승석, 『고려대장경해제』(고려대장경연구소, 1998)

논문

정왕근, 「朝鮮時代 『妙法蓮華經』의 板本 硏究」(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강순애, 「조선조 활자본계의 묘법연화경 판본에 관한 연구」(『한국비블리아학회지』 10, 한국비블리아학회, 1999)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집필자
안미경(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