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광식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 의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심광수(沈光洙)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1년 10월 15일
사망 연도
1960년 3월 21일
출생지
경기도 안성
주요 경력
한국광복군
대표 상훈
대통령 표창(1963)|건국훈장 애국장(199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심광식은 경기도 안성 출신으로 일찍이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 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한인반을 졸업하였으며, 1936년 조선혁명당에 입당하였다. 그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및 임시의정원 의원 활동을 전개하면서 한국독립운동의 선전 활동에 주력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 의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심광식(沈光植)은 1911년 10월 15일 경기도 안성(安城)에서 태어났다.

주요 활동

중국 국민정부의 군관학교인 낙양군관학교(일명 낙양분교)는 1933년 12월에 한인특별반을 특설하였으며, 임시정부 요인들은 각지에서 애국 청년들을 모집하여 특별반에 입교시켰다. 당시 김구(金九)는 만주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하고 있던 지청천(池靑天, 이청천) · 오광선 · 공진원 등 한국독립군 간부들에게 군관학교에서 군사훈련을 담당해 줄 것을 제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설치된 한인훈련반을 1935년에 졸업하였다. 1936년 3월 난징〔南京〕에 있는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에 입당하여 항일운동에 참여하였다. 일본제국주의는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졸업생 가운데 전봉남(全奉南, 경성부 정동 출신), 송득권(宋得權, 황해도 재령 출신) 등 한인 청년들을 체포하였으며, 이때 일본 외무성에서는 남양군관학교를 졸업한 후 만주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여 수배령을 내리기도 하였지만, 체포되지 않았다.

1937년 3월에는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선전부 출판물 간행 요원으로 활동하였다. 1937년 12월에는 중국에서 국내로 폭발물과 일본제국주의 식민통치에 관한 협박문을 발송하기도 했다. 1940년 12월 5일 임시정부의 국무회의에서 생계위원회를 설치하기로 결정하고 민병길(閔丙吉) · , 이상만(李象萬)과 함께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42년 10월 24일 충칭〔重慶〕에서 임시정부의 의정원 충청도의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943년 3월 30일 국무회의에서 안훈(安勳, 일명 조경한)을 국무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하여 황민(黃民)이 비서로 임명될 때 서무로 선임되어 1944년 3월까지 근무하였다. 1943년 4월 13일 국무회의에서 외무부 총무과 과장 이정호를 비서 겸임으로, 김정숙(金貞淑)을 교통부 비서로, 국무회 비서처 서무 심광식을 주석 판공실 비서 겸임으로 선임하였다. 같은 해 6월에는 선전부 총무과에 보직을 받고 11월까지 근무하였다. 같은 해 7월 내무부 경위대 대원으로 박용덕(朴龍德) · 황영식(黃英式)과 함께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43년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하면서 '국내외 동포에게 고하는 선언문'에 서명하기도 하였다.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제국주의 일본의 패망 전조가 보이므로, 전 세계 한민족이 단결해야 한다는 취지의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1941년 11월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입각한 건국 강령이 제정되고, 1943년 11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약헌(헌법) 수정 시 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위생부 설치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1944년 중국군사위원회의 통제와 간섭을 받아오던 총사령부가 독립성과 자주권을 가진 군대로서 면모를 일신하려고 하는 「 한국광복군에 대한 9개 행동준승 취소 요구」 제의안(提議案)을 조시원 · 박건웅 등과 작성하여 중국군사위원회에 통보하였다. 마침내 1944년 8월 23일 중국군사위원회 참모총장 허잉친〔何應欽〕으로부터 9개 준승 최소 통보를 받게 되었다.

1945년 6월 한국광복군 조직이 재편될 때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부관처(副官處)의 서무과장으로 임명되어 광복군 참령(參領)으로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복무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3년 대통령 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시준, 『한국광복군 연구』(일조각, 1993)
『독립유공자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4권, 제6권(고려서림, 198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5(탐구당, 1968)
김승학, 『한국독립사』 하권(독립문화사,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