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봉준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러시아 연해주에서 『해조신문』을 창간하고 성명회를 결성하는 등 러시아 한인 사회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9년(철종 10)
사망 연도
1917년 9월 25일
출생지
함경북도 성진
주요 경력
해조신문 발행인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96)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최봉준은 일제강점기 러시아 연해주로 망명하여 경제적으로 부를 축적한 후 한인들의 교육 활동과 권익 확보에 힘썼다. 1905년 『해조신문』을 창간하였고, 1909년에는 신문을 통해 안중근 의거를 대대적으로 알렸다. 연해주 한인 사회를 대표하는 성명회를 조직하고, 러시아 한인 중앙총회에서 활동하는 등 초기 러시아 한인 사회를 대표하는 독립운동가이다.

정의
일제강점기 러시아 연해주에서 『해조신문』을 창간하고 성명회를 결성하는 등 러시아 한인 사회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최봉준(崔鳳俊)은 1859년(철종 10) 함경북도 성진(지금의 김책시)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 러시아 연해주의 연추(煙秋, 延秋)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주요 활동

최봉준은 러시아에서 경제적으로 부를 축적하며 러시아 거주 한인 동포들의 교육 활동을 지원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전쟁 특수로 인해 재산을 축적하고, 상선(商船) 준창호(俊昌號)를 운영하며 국내 및 일본과 무역을 하였다. 특히, 최봉준은 생우무역(生牛貿易)을 통하여 많은 자산을 이루었다.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 을사조약) 소식을 듣고 본격적으로 국권 회복 운동에 투신하였다. 러시아 한인들의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 해조신문(海朝新聞)』을 창간하였다. 『해조신문』은 러시아 한인의 여론을 대표하는 신문으로 역할하였다. 특히, 안중근(安重根) 의거를 대대적으로 보도하고 안중근 의사의 유족을 후원하기도 하였다.

1910년 일본이 조선을 강제로 점령하자 러시아 지역 한인들을 규합하여 대규모 한인 단체를 결성하였다. 일제의 부당한 침략과 독립을 주장하는 성명회(聲明會)를 624명의 동지와 함께 결성하였다. 성명회는 1910년 8월 23일 블라디보스토크를 중심으로 한 시베리아 지방의 한인들이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한인학교에서 한인대회 후 조직하였다.

성명회의 선언서는 헤이그특사사건 후 연해주로 망명한 이상설(李相卨)이 기초하였으며, 국내에서 의병 투쟁을 이끌다가 연해주로 망명한 유인석(柳麟錫)이 대표를 맡았다. 러시아에서 독립을 주창하던 성명회는 1910년 9월 11일 일제의 압력을 받은 러시아 당국에 의하여 해체되고 말았다. 이후 한인 사회의 지도자로 역할하던 최봉준은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고려족 중앙총회의 임원으로 활동하던 중 그해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최봉준의 유해는 허커우정교당에 안장되었다. 1996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유공자공훈록』 14(국가보훈처, 2000)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86)
『독립운동사』 5(국가보훈처, 1986)
『안중근자료집』 2(국가보훈처)
『안중근자료집』 3(국가보훈처)

신문

『한인신보』(1917. 9. 30.)
집필자
황선익(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