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산업협회 ()

식생활
단체
1969년, 창립되어 식품 산업의 발전과 식품 위생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단체.
이칭
이칭
한국식품공업협회
단체
설립 시기
1969년
설립지
서울시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전신
한국식품공업협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한국식품산업협회는 1969년 창립되어 식품 산업의 발전과 식품 위생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단체이다. 1969년 ‘한국식품공업협회’라는 명칭으로 창립되어, 2012년 ‘한국식품산업협회’로 개칭되었다. 이 기관은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제조·가공·운반·판매·보존하거나 식품 관련 산업을 운영하는 자와 식품 관련 단체를 회원으로 하는 법적 단체이다. 주요한 역할은 우리나라 식품 산업의 발전과 식품 위생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식품 업체 상호 간의 이익과 국민 보건의 증진에 기여하는 것이다. 부설 기관으로는 한국식품과학연구원이 있다.

정의
1969년, 창립되어 식품 산업의 발전과 식품 위생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단체.
설립 목적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우리나라 식품 산업의 발전과 식품 위생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식품업체 상호 간의 이익과 국민 보건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이 단체는 국민의 건강과 식량 안보의 핵심인 ‘식품 산업의 가치를 높이는 total solution provider’를 목표로 하여, 식품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서 역량을 구축하고 다양한 관계자들을 연결하는 소통자로서의 역할을 사명으로 하는 법적 단체이다.

변천 및 현황

한국식품산업협회는 1969년 10월 7일 사단법인 한국식품공업협회로 창립하여 1986년 「식품위생법」 제52조에 의한 법적 단체로 전환하였다. 부설 기관인 한국식품연구소를 설립하였으며, 1995년과 1997년에 각각 위생 교육 실시 기관과 광고 사정 심의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01년에는 한국식품연구소 부산 지소를 개소하였고, 2010년에는 식품 위생 검사 교육 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중국 청도에 한중식품공업연구유한공사를 개소하였다. 2011년에는 제주테크노파크 및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고, HACCP 교육 훈련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2년에는 한국식품산업협회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같은 해 처음으로 FI KOREA(국제식품소재기술전)의 개최를 시작으로 2013년과 2014년에도 FI KOREA 행사를 개최하였다. 2015년에는 식품연구소를 한국식품과학연구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2016년에는 연구원 신축 건물을도 준공하였다. 2017년에는 한국식품산업협회 사옥을 현재의 서울특별시 서초구로 이전하였고, 2020년에는 한국환경공단, 육군 본부, 한국강소기업협회,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가장 최근인 2021년에는 서울본부세관,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 한국식품연구원 및 강원도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한국식품산업협회는 2023년 기준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명달로 41에 소재하고 있다.

주요 활동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식품 산업의 발전을 위해 대정부 제도 개선, 원료 공동 구매 및 알선, 식품 위생 교육, 표시 · 광고 자율 심의, 식품 등의 기능성 표시 광고 관련 자료 공개 및 출판 · 홍보 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국내 식품 기업의 수출 역량 제고 및 수출 확대를 위해 주요 해외 식품 전문 전시회에 참가하는 수출 지원 사업도 하고 있다. 정부, 소비자, 식품업계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식품 안전과 식품 산업을 지속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및 대안도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식품공업협회 30년사 편찬위원회 편, 『식품공업협회 30년사』(한국식품공업협회, 2000)
신광순, 『과거를 보고 미래를 연다-우리나라 식품위생 정책의 역사-』(지상사, 2011)
한국식품산업협회, 『국민과 함께 걸어온 식품산업 반세기 한국식품산업협회 50년사』(2019)

인터넷 자료

한국식품산업협회(https://www.kfia.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