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승(內乘)
조선시대 내사복시(內司僕寺) 소속의 정3품에서 종9품에 이르는 관직. # 내용
밀시(密侍)·연곡(輦轂)·어승마점검(御乘馬點檢)·위양(喂養)·조습(調習)·배종(陪從) 등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한 때는 겸사복(兼司僕)에 소속되기도 하였다.
원래는 고려 말까지 있었던 내승도감(內乘都監)에 소속되었던 관원이었다. 이들은 어승마의 조련과 사육, 국왕의 시위(侍衛), 명령 전달 및 궁궐의 입직(入直), 내주(內廚 : 어승목장)의 관리 등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국왕의 근신(近臣)임을 빙자해 많은 폐단을 야기시켰다.
즉, 직권을 남용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