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고산유고 목판 일괄(海南 孤山遺稿 木板 一括)
권6은 별집으로, 상권에는 시 8편, 부 4편, 논 3편, 책 6편, 표전 4편이, 하권에는 ‘가사’라는 표제 아래 「산중신곡(山中新曲)」 ·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 「고금영(古今詠)」 · 「증반금(贈伴琴)」 · 「초연곡(初筵曲)」 · 「파연곡(罷宴曲)」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어부사여음(漁父詞餘音)」 · 「몽천요(夢天謠)」 · 「견회요(遣懷謠)」 · 「우후요(雨後謠)」 등 75수의 시조가 실려 있다. 이 목판들은 빠진 목판이 없으며, 유고 안에 한글 가사가 들어 있는 점, 그리고 조선 시조문학의 대가인 고산 윤선도의 행적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 『고산유고(孤山遺稿)』 - 『전남서원의 목판』(송일기 외, 전남대학교문헌정보연구소·전라남도, 1998) - 『전남권문집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