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금병창(伽倻琴倂唱)
가야금병창은 한 사람이 가야금을 타면서 노래하는 연주 형태이다. 가야금병창으로 노래하는 악곡은 단가, 판소리, 민요, 신민요 등으로 가야금병창은 하나의 연주 형태일 뿐, 독립된 음악 장르가 아니다. 가야금병창은 1968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야송, 강강술래, 동부민요, 팔도민요연곡, 화초타령 (1) 장단 <br/> 가야금병창의 장단은 판소리의 장단을 그대로 사용하며, 대마디대장단 위주로 짜여져 있다.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이 쓰이는데 각 장단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① 진양조 <br/> 진양조장단은 판소리 및 산조 장단 가운데 가장 느린 장단으로, 한 각이 6박으로 친다 하여서 ‘육자백이’라고도 한다. 흥보가의 <박타령> · <천지 신령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