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工藝)
와당에는 원형의 수막새[圓瓦當]와 4분원형의 암막새[平瓦當]가 있는데, 고구려시대는 반와당(半瓦當)도 사용하였다. 문양은 연화문이 큰 줄거리를 이루고, 식물 · 동물 또는 벽사(辟邪)의 의미를 가진 귀문(鬼文) 혹은 불교적인 문양이 장식되고, 그 밖의 기와 종류로 귀면와(鬼面瓦) · 서까래기와 · 치미(鴟尾) 등이 사용된다. 전은 바닥에 깔거나 벽을 장식하기 위한 것이고,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형태의 크고작음, 문양의 차이 등이 생긴다. 형태는 방형 · 장방형 · 마름모형이 있으며, 문양은 주로 연화와 보상화(寶相華)가 장식된다. 와전에는 가끔 유약을 사용하기도 하며, 전으로 분묘의 현실(玄室)을 축조하기도 한다. 또, 고려시대는 청자기와와 전을 사용한 일이 있어 매우 주목된다. 우리 나라의 유리공예는 주로 삼국시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