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종은 어머니 문정왕후의 삼년상을 마치고 며칠 지나지 않은 1567년 6월 28일에 창덕궁의 양심합(養心閤)에서 승하하였다. 양주(楊州)에 있는 문정왕후의 태릉(泰陵) 동쪽에 능역을 조성하고, 능호를 강릉(康陵)이라 하였다. 명종의 국장은 9월 22일에 이루어졌다.
1575년(선조 8) 2월에 인순왕후가 승하하자, 명종의 능침 동쪽에 쌍릉으로 능침을 마련하고, 4월 28일에 장사를 지냈다. 인순왕후를 합부할 때에 가정자각(假丁字閣)을 조성하여 왕후의 상례를 지내고 삼년상을 지낸 후에, 가정자각을 철거하고 명종의 제례를 지내는 정자각에 합하여 제사 지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가정자각의 제도는 광릉(光陵)에서 정립된 것을 따른 것이다.
1571년(선조 4)에 명종의 삼년상을 막 마쳤을 무렵, 화재가 일어나 정자각이 소실되었다. 재건할 때에 정전 3칸에 좌우 익각을 갖추고 3칸으로 배위청을 형성하여 8칸 규모 정자각으로 건립되었다. 임진왜란으로 능상에도 불탄 흔적이 남아 있었으며, 정자각은 소실되었다. 1695년(숙종 21)에 중건하였는데, 당시 예조판서 박태상(朴泰尙)이 「중건상량문」을 지었다.
1571년에 정자각을 재건할 때 8칸에 팔작지붕으로 건립하였으나, 1695년에 중건하면서 정전 좌우 익각을 제거하고 정전 3칸에 배위청 3칸으로 총 6칸으로 건립하였다. 1753년(영조 29)에 희릉 · 효릉 · 장릉 · 태릉과 함께 강릉에도 표석을 세우고 비각을 건립하였다.
강릉의 두 능침은 해좌사향(亥坐巳向)으로 북북서를 등지고 남남동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었다. 두 능침은 회격으로 조성하였으나 봉릉에는 병풍석을 설치하고 난간석으로 연결하였다. 능침의 후면에는 곡장으로 둘러싸고, 정면에는 혼유석을 각각 설치하였다.
혼유석을 제외한 나머지 석물은 모두 합설하여 하나의 능침 제도로 조성하였다. 능 아래 59보 지점에 정자각이 있으며, 남쪽으로 74보 지점에 홍살문이 있다. 정자각의 동쪽에는 비각이 있으며, 그 안에 표석이 있다. 수라간과 수직방은 소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