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변상도 ()

목차
관련 정보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회화
개념
『금강경』에 삽입되어 경전의 내용을 묘사한 불화. 불화.
목차
정의
『금강경』에 삽입되어 경전의 내용을 묘사한 불화. 불화.
내용

변상도는 경문 속의 삽도 형식으로 배치되거나 책머리에 배치되는 두 가지 형식을 많이 취하고 있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삽도 형식으로, 조선시대에는 주로 책머리에 배치하고 있다.

삽도 형식 변상도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성암고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363년(공민왕 12년)의 남원개판본이다. 책의 체재는 절첩본이다. 가로 10.9㎝, 세로 27㎝,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그림이, 하단에는 경문이 기록되어 있다. 화폭은 가로 10.9㎝, 세로 20.2㎝이고 본문은 매장 7행으로 1행 12자이다. 말미의 간기에는 개판 연대와 함께 서자(書者)·화원(畫員)·각자(刻者)의 이름이 있다. 그리고 왕·왕후·공주의 장수 및 나라의 태평을 기원하고 있다.

총 71종의 변상도가 있으며, 책머리에 있는 변상도의 우측에는 설법 장소인 기원정사(祇園精舍)를 묘사하였다. 그 옆에는 설법주로서의 석가모니와 법을 청하고 있는 수보리(須菩提)의 합장한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석가모니 주변에는 제자상과 보살상, 사자를 타고 있는 문수보살,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 등이 매우 정확하게 묘사되고 있다.

이어서 경문의 내용 중 중요 부분을 거의 빠짐없이 자세히 묘사하고 있어 ≪금강경≫의 이해는 물론 고려시대 회화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이다. 스타인(Stein, M.A.)이 중국의 둔황(敦煌) 석실에서 발견한 868년 간행본 ≪금강반야바라밀경≫에도 변상도가 있다. 그러나 책머리의 간편한 변상에 불과하다.

따라서 남원개판의 금강경 변상이 개판 시기는 뒤진다 할지라도 변상도의 체재나 내용에 있어서는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868년 간행본을 훨씬 능가한다. 그리고 ≪금강경≫ 전권에 대한 내용을 그림으로 묘사한 최초의 창의적인 전개화라는 점에서 크게 주목된다. 조선시대에 널리 보편화되었던 책머리에만 있는 변상도 구도는 남원개판본의 앞부분 그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고려화엄판화의 세계』(장충식, 아세아문화사, 1982)
「한국불교판화의 연구 1」(장충식, 『불교학보』 19, 1982)
집필자
장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