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공저·박경의 사건 (·)

목차
조선시대사
사건
1507년(중종 2) 1월 김공저 · 박경 등이 박원종(朴元宗) · 유자광(柳子光) · 노공필(盧公弼)을 죽이려다 실패한 사건.
목차
정의
1507년(중종 2) 1월 김공저 · 박경 등이 박원종(朴元宗) · 유자광(柳子光) · 노공필(盧公弼)을 죽이려다 실패한 사건.
내용

의관 김공저와 서얼 박경은 중종반정공신 박원종 · 유자광 · 노공필을 간신으로 규정하고, 군대를 일으켜 이들을 죽이고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정미수(鄭眉壽)를 수상으로 삼아야만 정치를 잘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 자리에는 이장길(李長吉) · 장성(長城) · 장배(長培) 3형제와 유숭조(柳崇祖) · 정미수(鄭眉壽) · 이계맹(李繼孟) · 김감(金勘) · 조광좌(趙廣佐) · 조광보(趙廣輔) · 문서구(文瑞龜) · 조광조(趙光祖) · 김식(金湜) 등이 있었는데, 그 중 문서구가 심정(沈貞)에게 이를 밀고하고, 심정이 또 남곤에게 전하여 유숭조와 함께 고발을 하였다.

이에 관련자를 모두 잡아들이고, 대궐뜰에서 국문을 하여 대신을 모해하고 조정을 변란하게 하였다는 자백을 얻어 박경 · 김공저는 참형에 처하고, 처자를 노비로 삼고 재산을 몰수하였다.

그리고 연루자로서 이장길을 제주에 안치하고, 유숭조는 음모를 알면서도 고하지 않고 있다가 심정 · 남곤이 장차 그 일을 고발할 뜻이 있음을 안 뒤에야 자기의 죄를 면하고자 고발한 것이라 하여, 거제에 부처(付處 : 중도부처의 준말로 죄인에게 그 죄의 정상을 너그러이 참작, 유배장소로 가는 도중의 일정한 장소에 머물러 지내게 함.)하였다.

또, 이계맹은 진도에, 김감은 금산에, 정미수는 울진에 각각 귀양보냈으며, 조광조 · 김식 등은 나이가 어려 석방되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
『연려실기술』
집필자
김성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