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이조정랑, 봉화현감, 사간 등을 지낸 문신.
이칭
치실(穉實)
일포(逸圃)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64년(영조 40)
사망 연도
1842년(현종 8)
본관
반남(潘南)
출생지
경상북도 영주
주요 저서
일포집(逸圃集)
주요 관직
사간원 사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시원은 조선 후기에 이조정랑, 봉화현감, 사간(司諫) 등을 지낸 문신이다. 영천(榮川 :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출신의 학자로서, 정조 때 과거에 급제하여 순조 때 벼슬이 사간에 이르렀다. 정조 사후에는 벼슬할 생각을 버리고 영천에서 경사를 깊이 탐구하고 후학을 가르치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삼았다. 퇴계 이황과 자신의 선조 소고 박승임을 사표로 받들어 학문에 힘썼으며, 이산서원의 강학의 전통을 복구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이조정랑, 봉화현감, 사간 등을 지낸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치실(穉實), 호는 일포(逸圃)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제자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 1517~1586)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박정구(朴鼎九)이다. 아버지는 박사표(朴師豹)이며, 어머니는 권취규(權就揆)의 딸이다. 1764년(영조 40)에 영천(榮川) 반곡리(蟠谷里)에서 태어났다.

주요 활동

1789년(정조 13) 식년 진사시에 입격하였으며, 1798년(정조 22) 식년 문과에서 갑과 2위로 급제하였다. 1798년 3월, 종묘서 직장(宗廟署直長), 5월 선릉 직장(宣陵直長)에 제수되었으나, 정조 사후 벼슬할 생각을 버리고 영천에서 경사를 깊이 탐구하고 후학을 가르치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삼았다.

1816년(순조 16) 이조정랑, 1817년(순조 17) 사헌부 장령을 지냈다. 1822년(순조22) 봉화현감에 제수되자, 학교 교육과 백성 교화에 힘썼으며 백성들의 폐막(弊瘼)을 없애려고 노력하였다.

1824년에는 사헌부 집의에 제수되자 1825년(순조 25) 상소를 올려 주자의 「기유봉사(己酉封事)」와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圖 )」를 강학의 요체로 삼을 것과 백골징포 등 부당한 군포 징수를 없애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백성들을 돌보는 정치라고 주장하여 순조의 넉넉한 비답을 받았다. 1836년(헌종 2 )에는 사간원 사간에 제수되었으나 병을 이유로 사직하였고, 1842(헌종 8) 사망하였다.

박시원은 소고 박승임과 퇴계 이황을 사표로 받들며, 강학에 힘썼다. 같은 고향 사람인 이인행(李仁行)과 함께 이산서원(伊山書院)의 학름(學廩)을 정비하고 매년 가을과 겨울에 『주서(朱書)』 · 『근사록(近思錄)』 · 『심경(心經)』 등을 통독함으로써 서원의 옛 규정을 회복하였다.

학문과 저술

저서로는 1853년 아들 박종교(朴宗喬)와 영천 사림들이 간행한 8권 4책의 『일포집(逸圃集)』이 전한다. 권 1부터 권 7까지 시, 만사, 상소문, 서간문, 잡저, 서문, 기문, 잠(箴), 명(銘), 발문, 제문, 축문, 묘갈명, 행장, 상량문, 유사 등 저자의 학문과 뛰어난 문장력을 알 수 있는 글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권8은 부록으로 1846년 유치명(柳致明)이 지은 행장, 강필효(姜必孝)가 지은 묘갈명, 기타 벗들이 지은 제문과 만사, 장남 박종교가 지은 가장(家狀)이 있다. 마지막에는 이휘녕(李彙寧)이 지은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자료

『국조방목(國朝榜目)』
『일포집(逸圃集)』
『정재집(定齋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