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유고 ()

방산유고
방산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윤정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윤정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9년 증손 경현(庚鉉)과 친족 정식(廷植)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석준(金奭準)의 서문과 저자의 자서(自序)가 있고, 권말에 중국 학자 주당(周棠)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2책. 필사본.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권1·2에 시 459수, 권3에 책(策) 5편, 표(表) 5편, 서(序) 14편, 발(跋) 2편, 명(銘) 6편, 송(頌) 1편, 문(文) 6편, 잡저 3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시고를 별도로 편집해 『홍엽전성집(紅葉傳聲集)』이라 명명하고, 권1에 「한상제금록(漢上題襟錄)」·「백학산사실록(白鶴山史實錄)」·「자하산장집(紫霞山莊集)」·「난서비평(蘭西批評)」, 권2에 「황화옥한화(黃花屋閒話)」·「춘리당기사(春里堂紀事)」 등 6편으로 세분해 수록하였다.

저자의 시는 시어(詩語)가 다채로우며 운격(韻格)이 높고 청아한 정서를 함축하고 있다. 그 가운데 「전매화시(餞梅花詩)」는 오언고시(五言古詩)로서 63연(聯)에 이르는 장시이다. 매화의 형용과 생태 그리고 그에 대한 저자의 사랑을 읊은 명작이다. 그밖에 백학동(白鶴洞)의 유래를 회고한 「백학동가」 등도 서정성이 높은 대표작으로 간주된다.

저자는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의 외손자로서 사회 현실의 모순과 그 개혁 문제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의 사회 현안 문제들 가운데서 가장 폐단이 극심했던 것이 삼정(三政: 전정·군정·환곡)이었는데, 「어제책(御題策)」에서 이 문제를 깊이 있게 비판하고 대책을 제시하였다.

그 요지를 정리하면, 첫째 전부(田賦)에서는 원성의 대상이었던 결작미(結作米)·부미(浮米)·잡복미(雜卜米)·고진미(雇進米) 등 잡다한 세목(稅目)의 부가세들을 폐지하거나 병합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군정(軍政)의 폐단은 불공평한 군포(軍布) 징수에 있으므로 군정 대상자를 엄밀하게 파악해 상민(常民)·천민(賤民)과 벼슬하지 않는 양반들을 차별 없이 균등하게 징세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환곡(還穀)에서는 각 마을마다 사창(私倉)을 설치해 백성들이 자치제로 운영하게 하되 이임(里任)에게 책임을 맡기고, 그 곡식의 반은 백성들에게 대부하고 반은 비축해 간악한 향리들의 농간을 막음으로써 백성들의 자활책을 확립하자고 주장하였다. 이 밖에 과거제도의 개혁 등에 관한 대책을 논의한 것도 있다.

의의와 평가

시 중심의 문집이지만 실학사상의 일면을 보여주는 저술들이 포함되어 있어 주목되는 문헌이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