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괴정 ()

목차
관련 정보
삼괴정
삼괴정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무신 이방린 관련 누정. 정자.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무신 이방린 관련 누정. 정자.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199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때 경주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운 동호(東湖)이방린(李芳隣)과 동생인 유린(有隣)·광린(光隣) 삼형제를 추모하기 위하여 7대손 화택(華宅)이 1815년(순조 15)에 건립한 정자이다.

이방린은 경주판관이었던 박의장(朴毅長), 의병장 권응수(權應銖)와 함께 경주성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웠는데, 이때 화포장(火砲匠)이었던 이장손(李長孫)이 만든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사용하였다고 《관감록 觀感錄》에 기록되어 있다. 삼괴정이라는 이름은 삼형제가 의병으로 출전하기에 앞서 현재의 정자터에 괴나무 한 그루씩을 심어놓고 출전하였다 하여 명명된 것이다.

이 정자는 경사진 대지에 터를 잡아 전면은 누각(樓閣)으로 꾸미고, 출입은 뒤쪽으로 하게 하였다. 평면은 정면 3간의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두고, 다시 어간(御間) 뒤로는 세로로 2칸의 마루방을 둔 매우 특이한 평면형태를 취하고 있다. 2개의 방에는 각기 현판을 달았는데, 어간의 마루방은 ‘필경재(必敬齋)’라 하여 이방린을 의미하는데 상청(上廳)이라 부르고 있으며, 좌우측방은 ‘화수당(花樹堂), 포죽헌(苞竹軒)’이라 하여 두 동생을 상징하고 있다.

가구(架構)는 5량가(五樑架)이나 후면의 상청 부분은 3량가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 5칸의 대량(大樑) 위에는 양봉(樑奉 : 보아지)과 공아(拱牙)를 교차시켜 종량(宗樑)을 받게 하고, 파련대공형(波蓮臺工形)으로 선각(線刻)한 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받치고 있다. 주두(柱頭) 상부는 조선 후기의 살미[山彌] 형상인 초익공(初翼工)으로 장식하고 뒤 뿌리는 보아지로 선각하여 대량을 받게 하였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84)
『경상북도문화재도록』(동해문화사, 199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백영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