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수현 ()

심수현 글씨
심수현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형조참의, 병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기숙(耆叔)
지산(止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63년(현종 4)
사망 연도
1736년(영조 12)
본관
청송(靑松)
주요 관직
부수찬|강원도암행어사|의주부윤|양양부사|형조참의|병조판서|우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형조참의, 병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기숙(耆叔), 호는 지산(止山). 심억(沈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심약한(沈若漢)이고, 아버지는 응교(應敎) 심유(沈濡)이다.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 조석윤(趙錫胤)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04년(숙종 30)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어 1706년 설서(說書)가 되었다. 같은 해 지평(持平)을 거쳐, 이태좌(李台佐) 등 16인과 함께 홍문록에 올랐다. 이듬해 수찬을 역임한 뒤, 부수찬(副修撰)이 되었다.

그 뒤 1708년 강원도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통천군수 이정영(李挺英), 철원부사 이원명(李元命), 양양부사 성석기(成碩夔), 회양부사 남택하(南宅夏) 등을 징계하고, 영월부사 박중규(朴重圭), 울진현령 김세형(金世衡), 낭천현감 김현(金晛), 평창군수 이영(李瀅), 흡곡현령 신후재(申厚載) 등에게는 표상을 내리게 하였다.

이듬해 부교리(副校理)가 되고 이어 지평을 거쳐, 다시 부교리가 되었다. 이 해 평안도 강변의 7읍에서 무재(武才)를 뽑을 때 어사로 파견되어 이를 감독하였다. 곧 돌아와 헌납(獻納)이 되고 이듬해 의주부윤으로 나아갔다.

1714년에 다시 양양부사로 나아갔는데, 이때 선정을 베푼 것이 암행어사에 의해 밝혀져 포상받았으며 이 공으로 충청도 관찰사에 승진되었다.

1716년 중앙으로 돌아와 승지가 되고 이어 형조참의가 되었다. 1719년에는 경상좌도 균전사가 되어, 도내의 양전(量田: 토지의 측량)에 따른 불균형으로 백성들의 불만이 심하다는 소를 올려 종전에 실시되었던 양전을 그대로 실행할 것을 관철시켰다.

1720년 다시 승지가 되고, 이듬해는 강화유수로 나아갔다가 중앙으로 돌아와 대사헌을 거쳐, 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722년(경종 2)에는 공조판서로 승진되고, 1724년에는 병조판서가 되었다. 이어 판의금부사로 숭록대부에 가자되었다.

이듬해 지중추부사를 거쳐, 1727년 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같은 해 지경연사 · 판의금부사를 역임한 뒤, 우의정이 되어 진주사(陳奏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다음해 사신으로 청나라에서 돌아와 양사로부터 국가를 욕되게 했다는 탄핵을 받고 문외출송(門外黜送: 성문 밖으로 쫓아냄.)되었다. 그런데 양사에서는 문외출송만으로는 처벌이 경미하다 하여 부사와 서장관과 같이 절도로 귀양보낼 것을 청했으나 왕의 비호로 문외출송에 그쳤다.

얼마 뒤 다시 우의정으로 복직되었으며, 1733년(영조 9)에는 영의정이 되었다. 이듬해 노병을 칭하며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그 뒤 1736년에 판중추부사로 있다가 죽었다. 어려운 시기에도 정세에 휩쓸리지 않고, 노환이 심한데도 판단력이 정확하여 영상으로서의 구실을 훌륭히 해내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