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창호양말제조병염직공장 ()

근대사
단체
1908년 서울에 설립되었던 근대적 직조공장.
정의
1908년 서울에 설립되었던 근대적 직조공장.
개설

한말 이후 근대적 공장제품이 다량으로 수입됨에 따라 종전의 소규모 가내수공업에서 탈피하여 서구식 족답기(足踏機)를 도입, 공장공업을 발전시킨 민족기업이 서울을 중심으로 다수 출현하였을 때 낭대호(浪大鎬)가 설립하였다.

내용

1915년 12월 현재 자본금 3,000원으로 직공 32명을 고용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또, 기계설비로 족답기 16대, 수직기(手織機) 22대를 갖추어 와사단(瓦斯緞)·한양모사(漢陽毛紗)·생목(生木)·한양목(漢陽木)·한양저(漢陽苧)·선동포(鮮絧布)·양말 등의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연생산액은 9,000원 정도에 이르렀다.

당시 서울의 직조공장으로 대표적인 것은 경성직뉴주식회사(京城織紐株式會社), 장사동 소재 김덕창(金德昌)의 중곡염직공소(中谷染織工所), 노홍석(盧洪錫)의 경성염직소, 최규익(崔奎翼)의 한양염직공장 등이었는데, 경성직뉴주식회사와 김덕창의 공장 다음가는 자본규모와 설비로 운영되고 있었다.

의의와 평가

다른 직조공장과 마찬가지로 제1차세계대전으로 유발된 호경기에 힘입어 어느 정도 성장이 가능하였으나 전쟁종료 후 면사가격의 불안정 및 전반적 불황으로 폐업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공장은 근대적 기업의 초기형태, 민족기업의 원초적 형태였으며 그 성장의 실패는 초기민족자본 형성의 좌절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다.

참고문헌

『조선총독부통계연보(朝鮮總督府統計年報)』(1915)
『경성상공회의소월보(京城商工會議所月報)』
「한말일제초기(韓末日帝初期) 서울지방(地方)의 직물업(織物業)」(권태억, 『한국문화(韓國文化)』 1, 1980)
집필자
하원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