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일제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1년 중 4절기에 시행된 시험인 인일제, 삼일제, 칠일제, 구일제를 총괄하는 명칭.
이칭
이칭
절제(節製)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내용 요약

절일제는 조선시대, 1년 중 4절기에 시행된 시험인 인일제, 삼일제, 칠일제, 구일제를 총괄하는 명칭이다. 조선 후기에 절일제에서는 성적 최우수자에게 실질적인 급제에 해당하는 직부전시의 특혜를 부여하였다. 속대전에 따르면, 절일제는 응시 대상에 따라 성균관에 거재(居齋)하면서 원점 50점을 획득한 유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앞의 ‘원점 성균관 유생’을 포함하여 방외유생(方外儒生)들까지 아울러 실시되는 경우로 나뉘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1년 중 4절기에 시행된 시험인 인일제, 삼일제, 칠일제, 구일제를 총괄하는 명칭.
내용

1년 중 4절기에 시행되던 시험, 즉, 1월 7일에 실시하는 인일제(人日製), 3월 3일에 시행하는 주1, 7월 7일에 실시하는 칠일제(七日製), 9월 9일에 실행하는 주2를 포괄하는 명칭이다. 절일제의 4종류 시험이 지니는 공통점은 우선, 대책(對策), (表), (箋), (箴), (頌), (制), (詔) 등과 같이 문학적 능력과 시무 능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제술로 시험을 보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공통점은 성적 최우수자에게 처음에는 문과 식년시초시를 건너뛰고 주3에 곧바로 응시할 수 있는 직부회시(直赴會試)의 특전을 주었다가, 조선 후기로 가면서 그 특전이 초시는 물론 회시까지도 건너뛰고 곧바로 전시에 응시할 수 있는 직부전시(直赴殿試)로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직부전시는 실질적인 급제로서, 다음번에 실시되는 식년시, 증광시, 별시전시에 응시하여 급제의 순위만 정하면 되었다.

절일제는 응시 대상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 첫째는 성균관주4하면서 원점 50점을 획득한 유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이고, 둘째는 앞의 ‘원점 성균관 유생’을 포함하여 방외유생(方外儒生)들까지 아울러 실시되는 경우이다. 둘 중 어떤 것을 따를지는 국왕의 뜻에 따라 결정하도록 『 속대전』에 수록하여 법제화하였다.

첫째 경우는 절일제의 기원과 실시 원칙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주5을 목적으로 성균관 유생들에게 봄과 가을 두 차례의 제술 시험을 보아 우등자 3명에게 문과 식년시의 복시(覆試)에 곧바로 응시할 수 있는 특전을 주도록 한 『 경국대전』의 규정에서 절일제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아울러 절일제 실시의 원칙이 ‘원점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영조정조 대에 성균관 진흥책이 실시되면서 여러 번 확인되기도 하였다.

둘째 경우의 사례로는, 방외유생의 응시를 허용한다는 의미인 ‘ 통방외(通方外)’로 시행되어 1,000명이 응시한 1778년(정조 2)의 구일제를 들 수 있다. 이를 통해서는 절일제가 조선 후기 지방 유생의 정치적 욕구를 수용하여 급제자를 배출하는 과거 시험으로 기능이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742년(영조 18)의 『태학유생 원점절목(太學儒生圓點節目)』에 “절제(節製)는 본래 주6주7하는 것이지만, 지금은 오히려 주8처럼 되어 한 번도 거재하지 않으면서 반유처럼 응제하고 있다. 비록 한 번에 모든 폐습을 혁파할 수는 없어도 이제부터는 마땅히 옛 제도를 준행하여 절제할 때에는 마땅히 간간(間間)이 단지 성균관 유생만을 취(取)하고”라고 한 것을 통해서도 절일제가 과거 시험으로 기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차미희, 『조선시대 문과제도연구』(국학자료원, 1999)

논문

최광만, 「18세기 과시운영체제 연구」(『교육사학연구』 26-1, 교육사학회, 2016)
최광만, 「18세기 과시의 유형」(『교육사학연구』 25-1, 교육사학회, 2015)
최광만, 「영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한국교육사학』 37-3, 한국교육사학회, 2015)
최광만, 「정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한국교육사학』 37-4, 한국교육사학회, 2015)
원창애, 「조선시대 문과직부제 운영 실태와 그 의미」(『조선시대사학보』 63, 조선시대사학회, 2012)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오순절제의 하나로 음력 초사흗날 보던 과거.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오순절제 가운데 해마다 9월 9일 성균관에서 실시하던 과거.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과거에서 초시에 합격한 사람이 이 차로 시험을 보던 일. 또는 그 시험.    바로가기

주4

조선 시대에, 선비들이 성균관이나 사학(四學) 또는 향교의 기숙사에서 숙식하며 학문을 닦던 일.    우리말샘

주5

학문에 힘쓰도록 권함.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성균관에 유숙하며 공부하던 유생.    우리말샘

주7

임금의 특명으로 임시로 치르던 과거.    우리말샘

주8

조선 시대에,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대궐 안에서 보이던 과거.    바로가기

집필자
차미희(이화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