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재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문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7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문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연활자본. 1967년 증손 한상(漢庠)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宇)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박성양(朴性陽)·성구용(成九鏞)과 증손 병현(秉鉉)의 발문, 포장(褒狀)을 올린 도유(道儒)들의 명단, 한상의 후지(後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72수, 잠(箴) 7편, 명(銘) 1편, 제문 1편, 권2·3은 잡저로 주역연의(周易衍義) 상하 2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서행록후(書行錄後)·묘지명·묘갈명·상량문·기·봉안문·축문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뒤에 첨부된 저자의 손자 재희(載熙)의 『첨추공유적(僉樞公遺蹟)』에는 행장·수지(壽志)·제문 각 1편이 실려 있다.

「육잠(六箴)」은 인간의 성정(性情)은 천지의 상(象)에 따른다는 뜻으로 천·지·인·심·성·정의 도표를 그리고 여섯 잠을 지어 수양의 지침을 삼은 것이고, 「양심명(養心銘)」은 인·예·신·의·지로 글을 지어 아우들의 좌우명을 삼게 한 것이다.

잡저의 「주역연의」는 상하로 나누어 64괘(卦)를 차례로 그리고 각 괘에 따른 원문을 열거한 다음 세자(細字)를 사용하여 어려운 문제를 해설하면서 선현의 문답을 이용하여 자기의 의견을 보충한 것으로, 역학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이 밖에 70여 수의 시는 전아하고 담박하여 실속 없이 겉만 화려한 형태가 전혀 없다.

집필자
박용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