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말로는 ‘중허리’ 또는 ‘자즌한닙’이라고 한다. 남창(男唱)과 여창(女唱)이 있고, 우조(羽調) 중거와 계면조(界面調) 중거가 각각 있다.
「중거」는「평거(平擧)」와 함께 가곡 중에서 가장 늦게 만들어진 것으로, 앞곡인 「이수대엽(二數大葉)」의 파생곡이다. 따라서, 「중거」와 「이수대엽」은 선율이 많은 부분에서 같다.
「이수대엽」의 경우와 같이 우조 중거의 음계는 황종(黃鐘, Eb)·태주(太簇, F)·중려(仲呂, Ab)·임종(林鐘, Bb)·남려(南呂, C)의 5음 음계이고, 계면조 중거의 음계는 황종·중려·임종의 3음 음계이다.
장단은 10점 16박의 가곡 기본장단을 쓰고, 5장 2여음(五章二餘音)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선율적 특징은 대개 「이수대엽」의 그것과 같고, 우조에서는 중려와 태주를, 계면조에서는 임종과 중려를 장인(長引)한다.
다른 점은 「중거」의 템포가 「이수대엽」보다 빠르고 1장의 중간선율이 높으며, 3장과 5장도 높은 소리를 내는 점이다. 한편, 여창 중거는 요성(搖聲)이 심하고 선율에 굴곡이 많으며, 또 남창에 없는 속소리(假聲)를 빈번히 쓰는 점이 다르다.
남창 우조 중거의 사설에는 「인심은」·「청강(淸江)에」·「창랑(滄浪)에」 등이 있고, 계면조 중거의 사설에는 「청풍」·「있으렴」·「청산이」·「지금에」·「한산(閑山)섬」 등이 있다.
여창 우조 중거의 사설로는 「청조(靑鳥)야」·「청계상(淸溪上)」·「사랑 모여」·「간밤에」·「창힐(蒼頡)이」·「눈 맞아」등이 사용되고, 계면조 중거의 사설로는 「서산에」·「산촌에」·「이화(梨花)에」·「은하(銀河)에」·「요지(瑤池)에」·「울며」·「꽃 보고」 등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