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수대엽 ()

목차
국악
작품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
이칭
이칭
첫째치, 첫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
내용

한바탕의 첫번째 곡이라는 의미로 ‘첫째치’ 또는 ‘첫치’라고도 한다. 여창(女唱) 가곡에는 없고, 남창으로 있으며, 「우조초수대엽」과 「계면조초수대엽」의 두 가지가 있다.

「우조초수대엽」은 황종(黃, Eb) · 태주(太, F) · 중려(仲, Ab) · 임종(林, Bb) · 남려(南, C)의 5음 음계를 쓰고 있고, 「계면조초수대엽」은 대개 황종(黃, Eb) · 중려(仲, Ab) · 임종(林, Bb)의 3음 음계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우조초수대엽」이 중려를 길게 끄는 반면에 「계면조초수대엽」은 그보다 한 음 높은 임종을 길게 늘인다.

종음(終音)도 「우조초수대엽」의 경우에는 탁태주(㑀)이고 「계면조초수대엽」의 경우에는 탁중려(㑖)이다. 「초수대엽」은 가곡의 첫 곡일 뿐만 아니라 장단과 형식, 사설부침 등에서 모든 가곡의 기본이 되어, 가곡의 원곡(原曲)이라 할 수 있다.

장단은 10점 16박(十點十六拍)의 가곡 기본 장단을 쓰고 있고, 1장 ·2장 ·3장 · 중여음(中餘音) ·4장 ·5장 · 대여음(大餘音)의 5장 2여음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각 장의 길이와 사설부침은 〈표〉와 같다.

장별 길이 (박) 사설
1 32 동짓달 기나긴 밤을
2 27 한허리를 둘려내어
3 37 춘품 이불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중여음 16 -
4 27 어른님
5 48 오신 날 밤에 구뷔구뷔 펴리라
대여음 53 -
〈표〉 장별 길이와 사설

「초수대엽」의 사설은 정격(正格)의 시조시(時調詩)를 사용한다. 「우조초수대엽」의 사설은 「동창(東窓)이」 · 「남훈전(南薰殿)」 · 「천황씨(天皇氏)」 · 「남팔(南八)아」 · 「동짓달」 등이 있고, 「계면조초수대엽」의 사설로는 「청석령(靑石嶺)」 · 「앞못에」 · 「창밖에」 등이 사용된다.

『가곡원류(歌曲源流)』에는 「초수대엽」의 특징에 대해 “긴소매로 춤을 잘 추고, 푸른 버들이 봄바람에 휘날린다(長袖善舞 綠柳春風).”고 쓰고 있다. 「초수대엽」과 같은 가곡은 독창으로만 노래하고, 거문고 · 가야금 · 해금 · 젓대 · 피리 · 장구 등으로 반주한다.

참고문헌

『가곡원류(歌曲源流)』
「가곡의 계면조」(이혜구, 『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7)
「가곡의 우조」(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