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암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변명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2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변명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활자본. 1962년 9대손 관연(款淵)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김요원(金堯元)과 후손 관연·시연(時淵)의 발문이 있다. 전주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가(歌) 2편, 시 205수, 권2에 서(書) 4편, 발(跋) 1편, 제문 3편, 유사 1편, 권3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신죽가(新竹歌)」·「춘일감흥(春日感興)」·「차석주선생회초당운(次石洲先生懷草堂韻)」 등의 시는 청아하면서도 무격(無激)한 기상이 담겨 있으며, 「김장군응하사후악검가(金將軍應河死後握劒歌)」·「과이제묘유감(過夷齊墓有感)」·「감회(感懷)」·「간과(干戈)」 등의 시는 우이불상(憂而不傷)한 정회를 담고 있다.

시들은 당시 우국충정의 강개한 뜻을 표현한 것이 많다. 제문 중 「제망녀홍씨부문(祭亡女洪氏婦文)」은 1650년(효종 1) 부인 홍씨가 세상을 떠나자 애도한 글이다. 병자호란 때 세 살 난 어린 동생을 업고 난을 피하여 온갖 고난을 당한 참혹한 정상을 회상하며, 다시 만나볼 수 없는 애통절박한 심정을 고문체(古文體)로 곡진하게 표현하였다.

이 글은 애상한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문장의 가치뿐만 아니라, 병자호란 때 백성의 실상을 이해하는 자료로서의 가치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여기에 부기된 만사는 조정대신들이 부인의 죽음을 애도한 글로서, 저자의 교유관계를 살피는 데 도움이 된다.

부록에는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그를 위하여 송별하는 시편들이 실려 있다.

집필자
김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