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춘원지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경모궁지 정면
서울 경모궁지 정면
건축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구내에 있는 조선전기 궁궐의 후원으로 조성된 원유(苑囿)의 건물터. 사적.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구내에 있는 조선전기 궁궐의 후원으로 조성된 원유(苑囿)의 건물터. 사적.
내용

197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4,142㎡.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구내에 있다. 함춘원이 있었던 터이므로 ‘함춘원지’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으나, 현재 이곳에 남아 있는 석단(石壇)은 경모궁(景慕宮)의 유적이며 함춘문(含春門)만이 함춘원에 관련된 유적이다.

궁궐의 후원으로서 성종 때(1470∼1494)에 조성되어 임진왜란으로 파괴되기 전까지는 왕들이 즐겨 찾던 곳이었으며, 이 원유를 가꾸기 위하여 주변의 민가 · 가묘 등을 거의 다 철거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인조 때(1623∼1649)에 와서는 그 절반을 떼어서 말을 놓아 기르는 곳으로 사용하였다.

다시 1764년(영조 40)에는 이곳에 아들 사도세자의 사당인 수은묘(垂恩廟)를 옮겨 지었다고 하는데, 이때에는 아마도 방마장(放馬場)을 제외한 나머지 땅에다 지었던 것 같다. 왜냐하면, 「수선전도(首善全圖)」에는 함춘원과 경모궁이 담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그려져 있고, 『동국여지비고』에서도 함춘원이 경모궁의 서쪽 담장과 서로 접하여 있다고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곧 조선 전기까지는 창경궁 앞 동쪽 언덕이 모두 궁궐의 원유인 함춘원이었으나, 조선 후기에 와서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일부는 말을 기르는 곳으로 사용된 함춘원이 되고, 일부는 사도세자의 사당이 되었던 것이다.

이 조선 후기의 함춘원에 대해서는 『동국여지비고』에 원장(苑墻)에 설치된 문의 이름만이 기록되어 있을 뿐이어서 자세히는 알 수 없다. 즉, 함춘원 동산의 동쪽은 경모궁의 일첨문(日瞻門)이며 서쪽은 좌첨문, 북쪽은 유근문(逌覲門), 동북쪽은 유액문(逌掖門), 동남쪽은 우액문이다.

정조는 그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사당을 수은묘에서 경모궁으로 격상시키는 한편, 경모궁에서 시행되는 의례를 정하는 동시에 건축에도 정성을 쏟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함춘원도 새롭게 정비되었던 것이다. 경모궁은 1839년(헌종 5)에 불탔으나 곧 중건되었고, 1899년에 장조(사도세자에게 올린 존호)의 신위를 종묘에 옮기기 전까지는 중요시되었다. 이후 1900년에는 경모궁에 영희전(永禧殿)이 설치되기도 하였다.

함춘원과 경모궁 일대는 일제강점기경성제국대학이 세워지면서 결정적으로 파괴되었는데, 1973년에야 사적으로 지정되어 문화재로 보호받기 시작하였다. 한편, 사료상으로는 경희궁에 부속된 후원도 모두 함춘원으로 되어 있으나, 경희궁 후원의 본이름은 방림원(芳林苑)이다.

참고문헌

『한경식략(漢京識略)』
『서울육백년사-문화사적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강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