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건도감의궤 ()

목차
관련 정보
영건도감의궤
영건도감의궤
건축
문헌
조선시대 조정에서 주관한 영건사업에 대하여 종합적인 보고서 형식으로 기록한 의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조정에서 주관한 영건사업에 대하여 종합적인 보고서 형식으로 기록한 의궤.
내용

조선시대에는 국가적인 행사를 치를 때 이를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임시행정기구를 설치하였는데, 이 가운데 대표적인 기구가 도감(都監)이다. 도감은 고려시대부터 설치되었으며 조선시대로 계승되었다.

건설공사와 관련되어 설치된 경우는 고려시대에는 주로 창고 · 행랑 · 궁궐, 조선시대에는 주로 산릉(山陵) · 영건(營建) 등의 분야였다. 또 공사의 내용에 따라 설치된 도감도 다양하여 조선시대에는 조성 · 수축 · 수리 · 수개(修改) · 개수 · 증수(增修) · 중수(重修) · 중건 · 증건(增建) · 개건(改建) · 선수(繕修) · 영건 등의 이름이 붙여진 도감이 설치되었다.

한편, 공사의 규모가 작을 때에는 영건청(營建廳) · 중건청(重建廳) 등의 기구를 도감 대신 설치하였고, 때에 따라서는 주무관청인 선공감(繕工監)이나 호조 · 공조 등에서 직접 맡아서 공사를 진행하였다. 공사를 집행한 기구의 이름이 다양한 만큼 의궤의 명칭도 여러 가지이므로 영건도감에 의하여 집행된 공사를 정리, 기록한 책만을 『영건도감의궤』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영건’이라는 말은 조영(造營), 영조(營造) 등의 용어와 마찬가지로 건축과 관련된 공사를 대표하는 용어이므로, 건축 관련 공사보고서는 도감이나 청의 설치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영건의궤(營建儀軌)』 또는 『영건도감의궤』에 포함시킬 수 있다.

공사가 완료되면 곧 일정 장소에 의궤도감을 설치하고 여기에서 주1과 여러 문서들을 정리, 편집하여 의궤를 만든다. 이 때 주2 1부를 비롯, 여러 부를 작성하여 사고(史庫) 및 관련 관청에 나누어 보관한다. 의궤의 내용은 대개 좌목(座目) · 시일(時日) · 도형(圖形) · 승부(承傅) · 이문(移文) · 내관(來關) · 품목(稟目) · 감결(甘結) · 실입(實入) · 상전(賞典) · 공장(工匠) · 의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건 관련 의궤들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파리국립도서관 등에 보관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1633년(인조 11)에 편찬된 『창경궁수리도감의궤』이며, 최근의 것은 『경운궁중건도감의궤』(1906)이다. 조선시대에는 태조 이래 경성수축도감(京城修築都監) · 궁궐조성도감 · 문묘조성도감 등 국가적인 공사가 있을 때마다 여러 도감이 설치되었으나, 여기에서 의궤를 편찬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또, 조선 후기에도 많은 영건 관계 의궤가 편찬되어 지금까지 전하지 있으나 광해군 때 벌어진 창경궁 · 창덕궁의 중건 및 경희궁(慶熙宮) · 인경궁(仁慶宮)의 창건에 대한 의궤는 전하지 않고 있으며, 조선 후기 최대의 건축공사인 경복궁의 중건에 대한 의궤 또한 전하여지지 않는다.

『영건도감의궤』는 건축사연구를 위한 1차사료임은 물론, 당시의 정치 · 경제 · 사회를 연구하는 데에도 기초적인 사료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조의 의궤』(박병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주석
주1

전례(前例)를 적은 기록. 우리말샘

주2

임금이 보는 데 쓰임.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집필자
이강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