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제줄풍류 ()

목차
관련 정보
구례 향제줄풍류
구례 향제줄풍류
국악
작품
줄풍류 음악의 한 갈래.
목차
정의
줄풍류 음악의 한 갈래.
내용

줄풍류 음악의 한 갈래. 국가무형문화재.

줄풍류란 거문고를 비롯하여 가야금 · 해금 · 세피리 · 대금 · 양금 · 단소 · 장구 등으로 편성한 현악기 중심의 영산회상도드리〔尾還入〕 등의 연주를 가리키는데, 줄풍류 음악에는 주1주2의 두 갈래가 있다.

경제의 줄풍류는 오늘날 국립국악원을 비롯한 서울의 각 대학 국악과 등에서 가르치고 연주하는 영산회상의 형식이고, 향제의 줄풍류는 전주 · 이리 · 구례 등지에서 전승되는 영산회상 등의 줄풍류 형식이다.

옛날에는 여러 지방에 풍류방(風流房)이나 율방(律房, 또는 律閣)이 있어 각 지방의 풍류가 전승되었다. 특히, 호남의 이리 · 정읍 · 흥덕 · 부안 · 김제 · 옥구 · 강진 · 전주 · 목포와 호서의 대전 · 공주 · 예산, 영남의 경주 · 진주 · 대구 · 부산 등지의 풍류방은 유명하였다. 풍류방에 모이는 사람들을 율객(律客)이라고도 하는데, 이들은 며칠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모여 풍류음악을 즐기고, 또한 서로 친목을 도모하기도 하였으며, 대개는 율계(律契)와 같은 계조직으로 율방을 마련하였다.

향제 줄풍류는 경제 줄풍류와 몇 가지 점에서 다른 특징을 갖는다. 경제는 염불의 2장 후반부부터 빠르게 몰아 연주하지만, 향제는 그렇게 몰지 않는다. 경제의 단소가락은 잔가락이 많고 화려하지만, 향제의 단소가락은 대금가락과 거의 같다. 경제의 가락은 좀 뻣뻣한 느낌이 많지만, 향제의 가락은 농현이 더 굵고 흥겨운 맛이 더하다.

또, 향제에서는 계면가락도드리 · 양청도드리 · 우조가락도드리를 뒤풍류라 하고, 도드리를 영산회상 안에 포함시켜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뒤풍류 다음에는 풍류굿거리를 더 연주하고 끝마친다. 그러므로 향제 줄풍류의 한바탕은 상영산(上靈山, 또는 本靈山) · 중영산 · 세영산 · 가락덜이 · 상현환입 · 도드리 · 하현환입 · 염불 · 타령 · 군악 · 계면가락도드리 · 양청도드리 · 우조가락도드리 · 풍류굿거리 등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구례 향제 줄풍류이리 향제 줄풍류가 같은 해에 국가무형문화재로 각각 지정되었다. 이 가운데 구례 향제 줄풍류의 가야금 · 대금 · 단소가락은 옛날 풍류음악의 대가 전추산(全秋山)의 가락을 이어받고 있다.

주석
주1

서울ㆍ경기 지방의 독특한 시조 창법. 박절이 엄정하고 속목을 쓰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말샘

주2

지방에서 유행하는 시조 창법. 영제(嶺制), 완제(完制), 내포제(內浦制)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종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