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계 ()

고려시대사
지명
고려시대, 지금의 평안도 지역에 편성된 광역의 지방 행정 구역.
이칭
이칭
서북면(西北面), 북로(北路), 서북로(西北路), 서북계(西北界)
지명/고지명
제정 시기
고려 초기
폐지 시기
조선 초기
지역
평안도
내용 요약

북계는 고려시대 현 평안도 지역에 편성된 광역의 지방 행정 구역이다. '북로(北路)', '서북로(西北路)', '서북면(西北面)', '서북로(西北路)'라고도 하였으며, 동계(東界)와 함께 고려의 변방인 양계(兩界)를 구성하였다. 국방을 주 임무로 하였으며 방어주(防禦州)와 진(鎭)이 설치되었다. 몽골과의 전쟁 과정에서 일시 몰입되었다가 충렬왕 때 돌려받았다.

정의
고려시대, 지금의 평안도 지역에 편성된 광역의 지방 행정 구역.
위치

'북로(北路)' · '서북면(西北面)' · '서북로(西北路)' · '서북계(西北界)'라고도 하며, 동계(東界)와 더불어 양계(兩界)를 구성하였다. 대체로 오늘날의 평안도(平安道) 지방에 해당하며, 군사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주진(州鎭)이 편성되었다.

형성 및 변천

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북방 개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태조(太祖)는 즉위 직후 황폐하던 평양(平壤)에 주민을 이주시키고 대도호부(大都護府)를 두었다. 얼마 후 그곳을 서경(西京)으로 삼았다. 서경 서부 연안 지역에는 주1 · 용강현(龍岡縣) · 주2 · 주3이 설치되었다.

928년(태조 11)에 청천강에 도달한 고려는 주4를 두었고, 현 평안남도 일원에 진(鎭)을 설치해 나갔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강덕진(剛德鎭: 주5 · 통덕진(通德鎭: 주6 · 흥덕진(興德鎭: 주7 · 정융진(靜戎鎭: 주8 · 안정진(安定鎭: 주9 · 철옹진(鐵瓮鎭: 주10 · 주11 · 주12 · 안수진(安水鎭: 주13 등이 설치되었다. 진에는 진두(鎭頭)를 파견하여 다스리도록 하였다. 이들은 이후 대부분 주(州)로 승격되었으며 방어사(防禦使)가 파견되었다.

태조 말에는 청천강 중 · 상류 지역과 박천강 방면에 주14 · 주15 · 주16 · 주17 · 주18 · 주19 · 장덕진(長德鎭: 주20 등이 설치되었다. 광종(光宗) 말에는 박천강을 건너 주21와 송성(松城)이 설치되었다.

이후 고려의 북방 개척은 소강 상태를 보였으나, 거란(契丹)과의 제1차 전쟁에서 서희(徐熙)의 강화 협상을 통해 거란에 대한 사대를 수용하는 대가로 압록강 동쪽의 개척권을 확보하고, 주22 · 통주(通州: 주23 · 주24 · 주25 · 주26 · 주27강동6주(江東六州)를 설치하였다. 이렇게 국초 이래 개척된 지역은 995년(성종 14) 전국을 10도로 편제할 때 패서도(浿西道)로 편성되었다.

이후 고려는 압록강 어귀에서 동해안 도련포(道連浦)에 이르는 장성(長城)을 쌓아 국경을 확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려는 주28 · 주29 · 주30 · 주31 · 주32 · 주33 · 주34 · 삭주(朔州) · 주35 · 주36 · 영원진(寧遠鎭) · 평로진(平虜鎭) 등을 설치하였다.

서경은 『고려사(高麗史)』 「지리지(地理志)」의 북계 항목에 속해 있지만 또 하나의 도읍으로서 사실상 독립적인 지방 행정 구역이었기 때문에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가 관내 주진을 관할하는 형태로 관리되었다. 지방관으로는 방어군(주)에 5품 이상의 방어사 1인, 진에는 방어사 또는 7품 이상의 주37 1인, 주44에는 역시 7품 이상의 주38 1인을 각각 두었다. 이들을 총괄하기 위하여 3품의 병마사(兵馬使)가 파견되었다. 병마사는 989년(성종 8)에 처음 설치되었으나 이때는 상설 주39이 아니라 비상시에 출동, 주둔하는 군사 지휘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졌다. 뒷날 남도의 주40에 비견하는 상임 외직으로 고정된 것은 현종(顯宗) 후년 이후의 일이다. 이 때부터 병마사가 군사와 일반 행정을 모두 관장하는 지방 장관으로서 예하의 행정 기구들을 지휘, 감독하였다.

양계는 다시 몇 개의 도를 나누어 감창사(監倉使)를 파견하였는데, 북계에는 운중도(雲中道)흥화도(興化道)가 있었다. 감창사는 재정 감독과 관리 감찰을 주 임무로 하였다. 또한 이와 별개로 몇 개의 분도(分道)를 두고 분도장군(分道將軍)을 파견하여 군사 임무를 분담하도록 하였다.

한편 서경과 안북대도호부는 물론 모든 주 · 진 · 현에는 지방군이 배치되어 있었다. 정용(精勇) · 초군(抄軍) · 좌군(左軍) · 우군(右軍) · 보창군(保昌軍) 등은 다른 지역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컸다.

몽골과 전쟁을 벌이던 1269년(원종 10)에 서경에서 최탄(崔坦) · 한신(韓愼) 등이 반란을 일으키고 원(元)에 투항하자, 원은 서경에 동녕부(東寧府)를 설치하였다. 그 뒤 고려의 거듭된 요구로 1294년(충렬왕 20) 이 지역이 고려에 환속되면서 각 주 · 진에 지방관들이 다시 파견되었고 북계병마사의 후신으로 서북면도지휘사(西北面都指揮使)를 두게 되었다. 이 서북면도지휘사는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忠宣王)이 복위하면서 평양도존무사(平壤道存撫使)로 바뀌고 평양부윤(平壤府尹)이 겸하게 되었다. 1330년(충혜왕 즉위)에는 다시 '평양도순무사(平壤道巡撫使)'로 개칭되었다.

1369년(공민왕 18) 강계만호부(江界萬戶府)주41가 새로 설치되었으며, 공민왕(恭愍王) 후년에는 도순문사(都巡問使)가 군사와 민정을 관할하는 행정 장관이 되었다. 이것이 1389년(공양왕 1)에 도절제사(都節制使)로 바뀌었다가 다음 해에 남도와 마찬가지로 서북면도관찰출척사(西北面都觀察黜陟使)가 파견되어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와 평양부윤을 겸하였다.

그 뒤 소속 군현이 점차 군사적 성격이 탈색되고 민사적인 일반 주 · 현으로 전환되면서, 방어사 · 진장 등은 남도와 같은 주45 · 주46 · 주42 · 주43 · 현령 등으로 바뀌었다. 행정 구역으로서의 북계(서북면)는 조선 초기까지 그대로 존속되다가 1413년(태종 13)에 평안도로 개칭되었다.

의의 및 평가

북계는 고려의 독특한 지방 제도로서 동계와 함께 양계를 구성하였다. 동계가 신라 이래의 행정 단위를 다수 포함한 것과 달리 북계는 건국 이후 새로 개척한 지역으로 구성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부터 고려 영토 개척의 추이를 조망하는 동시에 양계의 제도적 운영을 전형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태종실록(太宗實錄)』 지리지(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박종진,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변태섭, 『고려정치제도사연구』(일조각, 1981)
오종록, 『여말선초 지방군제 연구』(국학자료원, 2014)
윤경진, 『고려사 지리지의 분석과 보정』(여유당, 2012)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일조각, 1984)
최정환, 『고려 정치제도와 녹봉제 연구』(신서원, 2002)
하현강, 『고려 지방제도의 연구』(한국연구원, 1977)

논문

변태섭, 「고려 양계의 지배조직」(『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1981)
변태섭, 「고려초기의 지방제도」(『한국사연구』 57, 한국사연구회, 1987)
신안식, 「고려전기 양계제와 변경」(『한국중세사연구』 18, 한국중세사연구회, 2005)
신안식, 「고려시대 양계의 성곽과 그 특징」(『군사』 6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8)
윤경진, 「고려 태조-광종대 북방 개척과 주진 설치: 『고려사』 지리지 북계 주진 연혁의 분석과 보정」(『규장각』 3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윤경진, 「고려 현종말~문종초 북계 주진 설치와 장성축조」(『군사』 7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윤경진, 「고려 성종~현종초 북방 개척과 주진 설치」(『역사문화연구』 38,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윤무병, 「고려북계지리고」(『역사학보』 4·5, 역사학회, 1953)
이기백, 「고려 태조시의 진」(『역사학보』 10, 역사학회, 1958;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이기백, 「고려 양계의 주진군」(『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이정기, 「고려시기 양계 병마사의 성립과 기능」(『한국중세사연구』 24, 한국중세사학회, 2008)
최정환, 「고려 양계의 성립과정과 그 시기」(『계명사학』 8, 계명사학회, 1997)
주석
주1

지금의 증산.

주2

지금이 평원.

주3

지금의 숙천.

주4

지금의 안주.

주5

지금의 성천.

주6

지금의 숙천.

주7

지금의 순천.

주8

지금의 순천.

주9

지금의 자산.

주10

지금의 맹산.

주11

지금의 양덕.

주12

지금의 양덕.

주13

지금의 개천.

주14

지금의 구장.

주15

지금의 박천.

주16

지금의 영변.

주17

지금의 영변.

주18

지금의 운산.

주19

지금의 태천.

주20

지금의 덕천.

주21

지금의 가산.

주22

지금의 곽산.

주23

지금의 선천.

주24

지금의 철산.

주25

지금의 용천.

주26

지금의 구성.

주27

지금의 의주.

주28

지금의 신의주.

주29

지금의 의주.

주30

지금의 의주.

주31

지금의 천마.

주32

지금의 의주.

주33

지금의 천마.

주34

지금이 천마.

주35

지금의 창성.

주36

지금의 희천.

주37

고려 시대에 둔, 진(鎭)의 으뜸 벼슬. 우리말샘

주38

신라 때부터 조선 시대까지 둔, 현(縣)의 으뜸 벼슬. 품계는 종오품이며 신라 때에는 대소의 구별이 없이 각 현에 두었다가, 고려ㆍ조선 시대에는 큰 현에만 두었으며, 작은 현에는 감무 또는 현감을 두었다. 우리말샘

주39

지방에 있는 감영(監營), 부(府), 목(牧), 군(郡), 현(縣)의 병영(兵營)과 수영(水營) 따위에 속한 문관과 무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0

고려 시대에, 각 도의 행정을 맡아보던 으뜸 벼슬. 현종 3년(1012)에 절도사를 고친 것이며, 문종 20년(1066)에 도부서(都部署)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41

지금의 창성.

주42

고려 시대에, 지방 행정 구역인 주(州)의 으뜸 벼슬. 우리말샘

주43

고려 시대에 둔, 군(郡)의 으뜸 벼슬. 현종 9년(1018)에 두었다. 우리말샘

주44

삼국 시대에서 조선 시대까지 있었던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주부군현(州府郡縣)의 구획 중에서 최하위 단위였으나 갑오개혁 때 23부제 실시로 행정 구역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우리말샘

주45

고려 시대에, 지방 행정 단위의 하나인 목에 보내던 지방관. 우리말샘

주46

고려 시대에 둔 개성부(開城府)와 지사부(知事府)의 으뜸 벼슬.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