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은사 ()

목차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비슬산(琵瑟山)에 있었던 고려왕들이 자주 행차한 사찰.
이칭
이칭
유암사(留巖寺)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비슬산(琵瑟山)에 있었던 고려왕들이 자주 행차한 사찰.
내용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처음에는 유암사(留巖寺)라 하였다. 광종은 이곳에서 약사도량(藥師道場)을 열었는데, 매일 재(齋)를 올릴 때마다 정족수(定足數)의 승려가 있었는데, 어느 날 아침에는 한 사람의 수효가 모자랐다. 그래서 지나가는 초라한 승려 한 사람을 불러들여 좌석을 채우고, 희롱조로 “말비구(末比丘)는 왕궁의 재에 갔다고 말하지 말라.”고 하였다. 그러자 그 승려가 “너도 약사를 친히 보았다는 말을 하지 말라.” 하고 허공을 날라 이 절의 우물 속으로 들어갔다.

왕이 이에 절을 크게 중창하여 불은사라 하고 숭신(崇信)하게 되었다고 한다. 예종 때에는 왕태후가 거처를 이곳으로 옮겼고, 의종 때에는 최윤의(崔允儀)의 유골을 이 절의 보리원(菩提院)에 안치하였다. 또한 1298년(충렬왕 24)에는 충선왕이 이곳에 행차하여 영궁기지(營宮基地)를 보고 덕자궁(德慈宮)을 건립하였는데, 이 덕자궁은 충렬왕이 보위에서 물러나 거주했던 곳이다.

그 뒤 원나라의 고승 현오(玄悟)가 1324년(충숙왕 11)에 병이 들어 백약이 무효하게 되었을 때 이 절의 약사여래에게 기도하여 완쾌된 사실에 보은하기 위하여 1338년(충숙왕 복위 7)부터 약 20년에 걸쳐 중창하였다. 현오의 중창 전에 이 절은 난리로 인해 불타고 원래의 절터에서 동쪽으로 옮겨 집을 짓고 이름만 따랐던 것인데, 현오가 원래의 자리에 큰 절을 이룩한 것이라고 한다.

이상의 기사 외에도 이 절은 고려왕들의 잦은 행차가 있었다. 1106년의 예종 행차를 비롯하여 고종·충선왕·공민왕 등이 자주 이 절에 행차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 절의 폐사에 관해서는 전혀 전하는 바가 없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70권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송도의 고적』(고유섭, 열화당, 1977)
집필자
장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