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여립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예조좌랑, 수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인백(仁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6년(명종 1)
사망 연도
1589년(선조 22)
본관
동래(東萊)
출생지
전라북도 전주
주요 관직
예조좌랑|수찬
관련 사건
기축옥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여립은 조선전기 예조좌랑, 수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546년(명종 1)에 태어나 1589년(선조 22)에 사망했다. 서인이었으나 당시 집권세력이던 동인 편에 서서 이이를 배반하고 박순·성혼을 비판했다. 이후 동인의 추천에도 관직을 얻지 못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대동계를 조직하고 전국적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589년 모반 고변이 급보되어 관련자들이 잡혀가자 죽도로 피신했다가 관군의 포위가 좁혀들자 자살했다. 이 사건으로 1천여 명에 달하는 동인이 숙청되었고 전라도 전체가 반역향 낙인이 찍혀 호남 출신의 관계 진출이 어려워졌다.

정의
조선 전기에, 예조좌랑, 수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인백(仁伯). 전주(全州) 출신. 정극량(鄭克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세완(鄭世玩)이고, 아버지는 첨정 정희증(鄭希曾)이다. 어머니는 박찬(朴纘)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세 때 익산군수인 아버지를 대신하여 일을 처리할 때 아전들이 군수보다도 더 어려워했다 한다. 자라면서 체격도 늠름한 장부가 되었으며, 통솔력이 있고 두뇌가 명석하여 경사(經史)와 제자백가서에 통달하였다.

1567년(명종 22) 진사가 되었고, 1570년(선조 2) 식년문과 을과에 두 번째로 급제한 뒤 이이(李珥)성혼(成渾)의 각별한 후원과 촉망을 받아 일세의 이목을 끌었다. 1583년 예조좌랑이 되고 이듬해 수찬이 되었다.

본래 서인이었으나 수찬이 된 뒤 당시 집권세력인 동인편에 반부(反附)하여 이이를 배반하고 박순(朴淳) · 성혼을 비판하였다. 이에, 왕이 이를 불쾌히 여기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가 서인을 공격하는 편에 앞장서게 된 사정은 확실하지 않으나, 그가 이조전랑의 물망에 올랐을 때 이이가 반대한 탓이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오히려 직정적이고 적극적인 성격이 동인의 영수 이발(李潑)과 잘 어울린 탓이 아닌가 한다.

그는 이이와의 문제로 서인의 미움을 집중적으로 받았고, 선조의 눈밖에 나서 동인의 역천(力薦)에도 불구하고 중앙에서 관직을 얻지 못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동인 사이에는 여전히 인망과 영향력이 있어 감사나 수령이 다투어 그의 집을 찾았다.

특히 전라도 일대에 그의 명망이 높았다. 그는 진안 죽도(竹島)에 서실을 지어놓고 대동계(大同契)를 조직하여 매달 사회(射會)를 여는 등 세력을 확장해갔다. 1587년 왜선들이 전라도 손죽도(損竹島)에 침범했을 때는 당시 전주부윤 남언경(南彦經)의 요청에 응하여 대동계를 동원, 이를 물리치기도 하였다.

그 뒤 대동계의 조직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황해도 안악의 변숭복(邊崇福) · 박연령(朴延齡), 해주의 지함두(池涵斗), 운봉(雲峰)의 승려 의연(義衍) 등 기인(奇人) · 모사(謀士)의 세력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1589년 이들이 한강의 결빙기를 이용, 황해도와 호남에서 동시에 입경하여 대장 신립(申砬)과 병조판서를 살해하고, 병권을 장악하기로 했다는 고변이 황해도관찰사 한준(韓準), 안악군수 이축(李軸), 재령군수 박충간(朴忠侃), 신천군수 한응인(韓應寅) 등의 연명으로 급보되어 관련자들이 차례로 잡혔다.

한편, 그는 금구의 별장을 떠나 아들 옥남(玉男)과 함께 죽도로 피신했다가 관군의 포위가 좁혀들자 자살하고 말았다. 이로써 그의 역모는 사실로 굳어지고, 정철(鄭澈)이 위관(委官)이 되어 사건을 조사, 처리하면서 동인의 정예인사는 거의 제거되었으니, 비명에 숙청된 인사는 이발을 비롯하여 1,000여 명에 달하였다.

그런데 그의 모반사건에 대해서는 무옥이라는 설과 모역이라는 양설로 나뉘어져 있다. 조작설의 이유로는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그의 도피는 안악의 교생 변숭복의 급보로 이루어지는데, 그는 수사의 손길이 곧 자기에게 미칠 것을 알면서도 집 안에 각종 수신(受信) 문서들을 방치하여 후일 이 문서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들을 연루자로 죽게 할 리 없다는 것이다.

둘째, 급보를 받고 도망간다면 연고지가 아니라 지리산 같은 심산으로 방향을 잡았을 것이며, 또 가족에게 행선지를 알려 추포의 손이 곧 미치게 하지 않았을 것이다. 셋째, 150년 뒤에 나온 『동소만록(桐巢漫錄)』 같은 야사에서는 그가 죽도에 가서 놀고 있을 때 선전관 등이 달려와서 박살하고 자결했다고 보고했다는 것이다.

기축옥사는 후유증이 컸던 만큼 이설(異說)의 채택에 신중했을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동인 사이에 구전되어오는 설을 직서했다고 보아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넷째, 김장생(金長生)이 엮은 <송강행록(松江行錄)>에 의하면, 고변이 있자 일반인은 그의 상경을 고대하고 있었는데 이상하게도 정철은 그의 도망을 미리 알고 있었을 뿐 아니라 자진하여 옥사처리를 담당했다는 것이다. 즉, 그의 도망을 미리 안 이유는 정철이 정여립의 유인과 암살을 지령한 음모의 최고지휘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정철의 배후에서 실질적으로 기축옥사를 조작한 이는 송익필(宋翼弼)이었다. 그는 노비 출신으로 서인의 참모 격으로 활약했는데, 자신과 그의 가족 70여 인을 환천(還賤)시키고자 한 동인의 이발 · 백유양(白惟讓) 등에게 복수하기 위해 이 사건을 조작했다는 것이다.

반면, 그의 모반을 뒷받침하는 것으로는 첫째, 그가 남긴 문자 중에 천하공물설(天下公物說)과 누구를 섬기던 임금이 아니겠는가 라는 하사비군론(何事非君論)을 들고 있다. 천하는 공물인데 어찌 일정한 주인이 있으랴. 충신이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고 한 것은 왕촉(王蠾)이 죽을 때 일시적으로 한 말이고, 성인의 통론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맹자가 성지화자(聖之和者)라고 칭찬한 유하혜(柳下惠)의 말을 인용한 하사비군이라는 말은 참으로 혁명적인 발언이 아닐 수 없다. 신채호(申采浩)가 일찍이 지적한대로, 그는 400년 전에 군신강상론(君臣綱常論)을 타파하려 한 것이니 그가 혁명성을 지닌 사상가라는 점은 분명하다.

둘째, 그는 전부터 있었던 목자(李)는 망하고 전읍(鄭)은 흥한다는 참언을 이용하여 전읍은 자기를 가리킨다는 낭설을 퍼뜨리고 그것을 믿게 했다 한다. 왕조의 운수가 다해 천명이 타성에게 내려 새 왕조의 출현이 필연적임을 믿는 것이 도참신앙이고, 이것을 고의로 조작했다는 것은 곧 반역·모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그의 집에서 압수된 ‘제천문(祭天文)’에는 선조의 실덕을 열거하여 조선 왕조의 운수가 다했음을 논하고, 천명의 조속한 이행을 기도한 흉참한 문구가 있었다고 한다. 아마 그는 선조 밑에서는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고 판단하고, 혁명을 은밀히 생각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옥사에서 쓰러진 동인 명사들은 선조에게 등을 돌리는 데 있어서 어느 정도 공통성은 있으나, 역모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어쨌든, 그는 기축옥사의 장본인이 되어 동인의 정치권에 큰 타격을 주었고, 전라도 전체가 반역향이라는 낙인을 찍히게 하여 호남출신 인사의 관계 진출을 어렵게 만들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동소만록(桐巢漫錄)』
『동남소사(東南小史)』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송강전집(松江全集)』
『단재전집』(신채호, 형설출판사, 1972)
「정여립연구」(김용덕, 『조선후기 사상사연구』, 을유문화사, 1977)
집필자
김용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