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희 ()

불교
인물
공민왕대, 국사를 지낸 화엄종 승려.
이칭
설산(雪山)
시호
진각국사(眞覺國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07년(충렬왕 33)
사망 연도
1382년(우왕 8)
출생지
흥해(지금의 경상북도 포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희(千熙)는 공민왕대 국사를 지낸 화엄종 승려이다. 일찍이 승과에 합격하여 수학하다가 중국 강남 지역을 유학하여 몽산덕이와 만봉시위로부터 인가를 받아 귀국하였다. 화엄종 승려였으나 간화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국사가 된 후 신돈이 실각할 때까지 불교계를 주도한 주요 승려 중 하나였다. 말년에는 화엄종의 종찰인 부석사 중창에 힘썼다.

정의
공민왕대, 국사를 지낸 화엄종 승려.
가계 및 인적사항

1319년(충숙왕 6)에 출가하여 고령 일대의 화엄 반룡사주(盤龍社主) 일비(一非)를 은사로 득도하였다. 이때 화엄종뿐만 아니라 참선에도 힘써 선지(禪旨)에도 널리 통달하였다.

주요 활동

1325년에 19세의 나이로 승과에 합격하였고 이후 김생사(金生寺) · 부인사(夫人寺) · 덕천사(德泉寺) · 개태사(開泰寺) 등지에서 수행하며 화엄종의 주요 승려로 활약하였다. 58세가 되던 1364년(공민왕 13)에는 중국 강남 지역을 유학하였다. 1366년에는 이미 입적한 몽산덕이(蒙山德異)와 성안사(聖安寺)의 만봉시위(萬峯時蔚)로부터 인가를 얻고 귀국하여 고려말 불교계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게 된다. 그의 비문에는 평소 선지를 참구(參究)하다가 소백산, 금강산, 오대산 등에서 꿈에 임제종 선승인 몽산덕이로부터 의발(衣鉢)을 전수받은 것이 계기가 되어 1364년(공민왕 13)에 원에 들어가 휴휴암에서 몽산의 영정을 모신 진당에 간 일화가 전한다. 몽산덕이는 13세기 후반 이래 고려 선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쳤는데 그러한 사실이 화엄종 승려인 천희의 행적에서도 확인된다.

천희는 또한 교학 승려임에도 불구하고 간화선(看話禪)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다수의 선종 승려들과도 가깝게 교류하였다. 그의 간화선 수용은 당시 유행하는 새로운 불교 사상에 대한 적극적 대응인 동시에 이론 탐구보다 실천 수행을 중시하는 의상계 화엄종의 전통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천희는 1365년에 국사로 책봉된 뒤 당시 왕사(王師)였던 나옹 혜근과 함께 선교(禪敎)의 공부선(功夫選)을 맡았으며 1371년 신돈이 실각할 때까지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신돈이 실각한 후 천희는 국사에서 물러나 화엄종의 종찰인 부석사의 주지를 맡아 사찰을 중창하였다. 이후 금강산 · 오대산 등 여러 사찰을 다니면서 후학들을 지도하다가 1368년에 수원 광교산의 창성사(彰聖寺)에서 입적하였다.

시호는 진각(眞覺), 탑호(塔號)는 대각원조(大覺圓照)이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조선총독부, 1919)

논문

조명제, 「고려후기 몽산법어의 수용과 간화선의 전개」 (보조사상연구원, 1999)
최연식, 「眞覺國師 千熙의 生涯와 思想」 (한국문화사학회, 201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